+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어느덧 가을이 왔습니다. 

 

 

공기가 시원해지고, 저녁이 되면 추위가 느껴질 정도로 기온이 내려가기도 하네요. 

 

이럴 때 감기 걸리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가을의 시원한 공기, 맑은 하늘들 많이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전산관리자로 일을 하다 보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도입한다거나,

 

보안 이슈로 레지스트리 또는 PC 정책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이벤트들이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필요한 작업에 대해 매뉴얼을 잘 만들고, 충분히 잘 설명한다면 

 

직원들이 잘 세팅을 해줄 수 있겠지?? 이런 생각들을요. 

 

그런데 겪어보니 직원분들에게 그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 작업이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잘 안된다는 연락들,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는 분들 그런 분들을 결국 또 조사를 해서 

 

저는 직접 설치를 해주어야 하고, 그런 시간들이 쌓여서 업무 부하가 되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때 구글링을 하면서 알게 된 것이 배치파일(.bat) 이었습니다. 

 

지금까지도 배치파일을 활용해서 파일 배포, PC 설정 등의 작업들을

 

일괄로 중앙에서 직원 PC로 실행 명령을 내려서 PC관리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얘기가 길었네요. ^^;;

 

앞으로 배치파일 활용에 대해서 알게 된 내용들 그리고 활용 방법들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 배치 파일이란? >

 

흔히 GUI 환경에서 클릭해서 폴더를 열거나, 파일을 드래그해서 다른 폴더로 복사를 하는 등의 작업들을 

 

도스 창이라고 흔히 말하는 검은색 명령 창에서 입력된 명령들을 PC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 파일'입니다. 

 

흔히 개발자들이 처음에 화면에 띄우려고 한다는 hello world를 echo 명령을 통해 표출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명령어들을 여러 줄로 입력해서 PC에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 배치파일(. bat)입니다. 

 

< 배치 파일의 생성 방법 >

 

배치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파일의 확장자를 .bat 로 변경을 해주어야 합니다. 

 

윈도우 기본 설정에서는 확장자를 볼 수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아래와 같이 윈도우 폴더 설정을 변경합니다.

 

※  현재의 예제 화면은 윈도우10을 기준으로 표출합니다. 다른 OS도 비슷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

 

[안내] 윈도우 탐색기 오픈 > 상단 보기 탭 선택 >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안내]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창 오픈 > 보기 탭 선택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 체크 해제

 

위와 같이 설정하신 후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모든 파일들에 대해 확장자가 보이게 됩니다. 

여기까지 설정이 모두 되셨으면 이제 배치파일을 만들어 봅시다. 

 

빈 화면에 새 파일을 아무거나 만드시고,

 

F2 키를 누르시거나 우클릭 후 이름 바꾸기를 클릭하신 후 

 

파일의 확장자를 .bat 로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파일의 확장명을 변경하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변경하시겠습니까?" 알림 창이 뜨는데, 

 

사용하시던 중요한 파일이면 당연히 하시면 안 되고요;;^^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서 확장자를 바꾼 경우에만 '예(Y)'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예(Y)'를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이 배치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드디어 배치파일을 만들었네요. 

 

그럼 오늘은 간단하게 아까 보여드렸던 hello world 라는 메시지를 도스 창에 띄우는 명령을 넣어서 실행해 보겠습니다. 

 

배치 파일의 내용 수정은 우클릭 후, 편집(E) 버튼을 누르셔서 에디트 창을 열고 내용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에디트 창에서 echo hello world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신 후, 저장하시면 됩니다. 

 ehco 라는 명령어는 도스 창에 원하는 텍스트를 표출해줄 수 있게 하는 명령어인데

 

배치 파일에 많은 명령어를 넣어 처리하는 경우

 

그에 대한 중간중간 처리과정 중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 확인하고 싶을 때 

 

디버그 용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명령어 입력 후 저장하시고, 배치 파일을 실행하시면 

 

보시는 것과 같이 hello world 가 표출됩니다. 

 

자.. 오늘은 배치파일이 무엇인지?

                         배치파일은 왜 사용하는 건지?

                             배치파일을 어떻게 만드는 건지? 를

알아보았습니다.

 

이후에는 배치 파일을 활용하여 파일을 실행하거나, 복사하는 것 등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알려드리고, 

 

더 나아가서는 조건문들을 활용하여 PC별 상황에 따라 처리 내용을 다르게 하는 예제

 

그리고 

 

레지스트리 변경과, 로컬 그룹 정책 편집 등의 PC 중요 설정을 변경하는 예제까지 공유하려 합니다. 

 

이렇게 공유를 드리는 이유는 이런 유용한 방법들을 알게 되고, 활용하기까지 걸린 시간들을 

 

잘 정리해서 정말 동일한 상황에서 이런 기술이 필요한 분들에게 좀 더 빠르게 필요한 작업을 잘하실 수 있게 

 

도움을 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개인적으로 스스로 도전하려고 하는 체크리스트 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아무튼 도움이 된다면 저는 많이 기쁠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 글로 또 뵙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