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 글을 시작하며.. ]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PC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부팅이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찾아가는 방법은 별도 콘텐츠로 제작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오늘은 윈도우가 깨져서, 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보통 윈도우가 깨져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부팅 USB(CD)를 준비하고,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시간은 계속 흘러가고..)

원하시는 PC 환경으로 만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죠.

만약 모두 세팅된 채로 만들어진 하드디스크가 하나 있다면,

10분~15분 정도의 시간만 들이면 금방 복구가 가능했을 텐데.. 말이죠

물론 공짜는 아닙니다.

예비용 하드디스크가 필요하고,

하드디스크 복사기(도킹 스테이션) 제품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고장난 PC를 고치기 위해 고민해야 하는 시간이나,

복구 후에 원하시는대로 PC를 최적화하기까지 드는 시간을 생각하면

이 비용이 절대 아깝지 않으실 겁니다.

여러대의 PC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 사무실의 경우는 더더욱 필요하실 겁니다.

그런 체계를 갖춰 놓으시는게 PC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지요.

보통 저의 경우는 PC 용도별로 해서 분기별로 복구용 하드디스크를 만들어 놓고,

PC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통해 복구를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 하드디스크 종류별 하드디스크 복사기 사용 관련 안내 ]

 

<SATA> 형태 하드디스크 경우 (▼ 2.5, 3.5인치 SSD 또는 SATA 하드디스크 전용 복사기 ▼)


https://link.coupang.com/a/GCh3D

 

넥스트 1대1 HDD SSD 스마트 복사 & 삭제기

COUPANG

www.coupang.com

위와 같은 구성으로 SSD HDD 또는 SATA HDD를 해당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활용하여

복사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이 "Smaller Target 모드"라고 해서 Source HDD의 실제 사용 용량만큼의 공간이 Target HDD에 있다면

용량의 차이에 관계 없이 복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편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급적이면 동일한 제품, 동일한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작업을 진행하심이 가장 안정적이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만약 위의 2.5인치 SSD나 3.5인치 SATA HDD가 아닌,

메모리 칩 형태의 m.2 SSD 를 복사하고자 하신다면 어댑터를 활용해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형태로 어댑터에 연결을 하시고, 어댑터를 하드디스크 복사기로 연결을 하시면 됩니다.

https://link.coupang.com/a/GB487

 

넥스트) M.2 (NGFF) SSD to SATA 변환 컨버터 1NGFF1S

COUPANG

www.coupang.com



단, 여기서 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

m.2 하드디스크는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m.2 SSD가 장착 또는 호환되지 않는다는 얘기지요.

위의 사진중에 앞서 소개해 드린 어댑터에 호환이 되는 부분은 오른쪽에 있는 m.2 SSD(SATA) 입니다.

왼쪽에 있는 m.2 SSD(NVMe)의 경우는 호환되지도 않고, 장착되지도 않습니다.

이 점 꼭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NVMe SSD와 SATA SSD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첫 번째 연결하는 부분이 다르게 생겼습니다.

두 번째 속도의 차이가 큽니다. NVMe SSD가 훨씬 더 빠릅니다.

그래서 요즘은 NVMe SSD를 대부분의 PC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그렇다면 NVMe SSD 끼리 복사를 해주는 하드디스크 복사기는 없을까요?

물론 있습니다.

<NVMe> m.2 하드디스크 경우


https://link.coupang.com/a/GCibf

 

nextu C타입 NVMe M.2 SSD 도킹 스테이션 NEXT-M2288DCU3

COUPANG

www.coupang.com

 

위 제품을 한 번 보겠습니다.

조금 더 확대해서 볼까요?

 

자 보시면 Source, Targer 부분에 NVMe SSD 하드디스크를 꽂고

우측 하단의 둥근 버튼을 눌러 복사를 진행하는 구조입니다.

실제 사용을 해봤습니다.

아래의 사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C타입 선을 하드디스크 복사기 몸체에 꽂고, 반대 부분은 220v 전원 어댑터로 연결합니다.

그리고 Source, Target 부분에 NVMe SSD를 장착합니다.

※ 전원 연결전에 NVMe SSD 하드디스크를 꼭 먼저 연결해 주셔야 합니다.
전원 연결 후 Source, Target 밑에 SSD 라는 LED가 정상적으로 표출되는지 확인해 보시고,

표출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하드디스크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것이기 때문에
전원을 끄시고, 재연결 해보시고, 그래도 안된다면 호환이 되지 않는 하드디스크 거나,
하드디스크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하셔야 합니다.

 

정상적인 방법대로라면

위와 같이 연결을 하고나서 우측 하단의 둥근 버튼을 5초 정도 꾹~ 누르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25% 라고 수치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표시가 되지 않았습니다. 왜일까 생각해보니, 두 개의 제품이 같은 용량이나,

다른 제품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동일한 NVMe SSD를 연결해서 다시 시도했더니, 정상적으로 복사가 진행됐습니다.

 

 

위에도 언급해 드렸지만,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사용하실 때는 제품의 차이와, 용량의 차이에 따라

그리고 하드디스크 복사기의 차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복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충분히 사용 후기글이나, 제품 사용서를 검토해 보시고 구매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동일한 제품, 동일한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Source 와 Target 에 연결하는 것입니다.

다시 돌아와서,

우측 하단의 버튼을 꾹~ 5초 정도 누르니 25% 램프가 표시되었고, 50% 75% 100%으로 표시가 되면서

하드디스크 복사가 완료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56GB 용량의 하드디스크 복사였는데,

1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던것 같습니다.

※ 설치되어 있는 용량의 정도에 따라 복사의 시간은 비례해서 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 글을 맺으며.. ]


자! 이번 콘텐츠에서는 PC를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아이템인

하드디스크 복사기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쉽게 말씀드려서, "편하고 싶어서입니다."

관리하고 있는 PC가 최적화 되어 있을 때 고장 상황 대비용으로 하드디스크를 하나 복사해 놓고,

PC에 문제가 발생해서 긴급 복구를 하고 싶을 때 10분~15분 정도면 바로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물론 하드디스크 복사기 없이 별도의 USB나 하드디스크에 현재 기준으로의 윈도우 복구 드라이브를 생성해 놓고,

윈도우 부팅용 USB 또는 CD를 통해 부팅 후 복구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향후 추가 콘텐츠로 안내드릴 예정이고요.

이 방법 복구하는데 20분~30분 정도의 시간이면 복구가 가능합니다.

다만 복구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2시간 넘게 시간이 소요가 되더라고요.

그 부분은 조금 불편한 부분입니다만, 그래도 그때만 시간을 투자하시면 긴급 복구할 수 있는 준비를 하나 할 수 있는 거니까

충분히 투자하실만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추후 콘텐츠를 통해 학습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 눌러주시면

더 좋은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콘텐츠 속 제품 관련 링크 ]

 

M.2 SSD (SATA) https://link.coupang.com/a/GCgBL
M.2 SSD (NVMe) https://link.coupang.com/a/GChQr
하드디스크 복사기(SATA) https://link.coupang.com/a/GCh3D
하드디스크 복사기(NVMe) https://link.coupang.com/a/GCibf
M.2 SSD TO SATA 어댑터 https://link.coupang.com/a/GB48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1990년대에 PC를 사용하셨던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PC 부팅이 왜 이리 느리지? 하면서

답답해하셨던 기억이 나시나요?

막 ~ 검정 창에 이런저런 메시지가 표출되면서


세월을 외치며, 5분 ~ 10분 기다렸던 그랬던 적이 있었지요.

그리고 2007년부터였을 겁니다.

SSD 하드디스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부팅 시간이 획기적으로 10초 ~ 20초 정도로 단축되게 되었지요.

SSD의 성능은 점검 좋아졌고,

2.5인치로 시작했던 사이즈가

이제는

2mm 정도의 얇은 두께,

80mm 정도의 짧은 폭으로

출시가 되고 있는 수준이지요!

오늘은 앞서 말씀드린 SSD 하드디스크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구분은

- 2.5인치 SATA SSD - M.2 SATA3 SSD- M.2 NVME SSD

이렇게 3가지 규격의 SSD를 가지고

장, 단점 및 사용 시 유의사항에 대해

나눠보겠습니다.

1) 2.5 인치 SATA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13190519&keyword=2.5%EC%9D%B8%EC%B9%98+SSD&cate=112760

 

삼성전자 870 EVO (500G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6.4cm(2.5형)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 DDR4 512MB / 컨트롤러: 삼성 MKX / [성능] / 순차읽기: 560MB/s / 순차쓰기: 530MB/s / 읽기IOPS: 98K / 쓰

prod.danawa.com


자! 삼성전자의 2.5인치 SSD 500GB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장, 단점을 먼저 나눠보겠습니다.

(장점)

< M.2 SSD에 비해 사용 가능한 수명이 길다 >

실제 사용해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2.5인치 SATA SSD 가 M.2 SSD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오래 사용 가능합니다.

M.2 SSD는 보통 3년 정도 사용하면
PC가 느려지거나, 부팅이 점점 느려지는 증상이 발생하면서
수명이 다됐다는 신호를 보내게 되고, 나중에는 부팅도 안되게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하드디스크 검사기로 검사를 해보면 SSD LIFE 수치가 정해져 있는지
마지막에 가서는 결국 0 값이 되면서 PC가 뻗어버립니다.

100여대의 PC를 관리해본 결과,
3년차부터 많이 사용하는 PC 위주로 고장건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SATA SSD 로 동일하게 운영했을 때는 SSD 하드디스크 교체 건이
비율적으로 비교한다면 1/3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적당히 PC를 사용하시는 편이시고,
주기적으로 PC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시는 분이시라면
성능이 상대적으로 좋은 M.2 SSD 을 쓰시면 되겠지만
특별히 신경쓰는 것 없이 오래오래 쓰고 싶다? 생각하신다면
2.5인치 SATA SSD 를 사용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제 개인PC도 사용한지 5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까지 잘 쓰고 있답니다 :)


<PC에 장착 또는 연결할 때 M.2 SSD에 비해 제약이 적다>

M.2 SSD 의 경우는 메인보드에 장착가능한 슬롯이 있어야 장착이 가능하지만
2.5인치 SATA SSD의 경우는 SATA 케이블을 연결하고 가이드를 연결해서든,
자체로 장착을 하든 피스를 박든, 테이프로 고정하든 빈 공간만 있으면 장착이 가능합니다.

사실 요즘들어서는 M.2 SSD(SATA3, NVME), 2.5인치 SSD 모두에 대해
USB로 PC에 연결가능한 외장 케이스가 잘 나오고 있기 때문에
위의 장점은 엄청 장점이다 할 순 없지만 그래도 장착의 의미에서는 장점입니다.


(단점)

<M.2 SSD보다 상대적으로 처리 속도가 느리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점점 더 성능이 집약되어 생산되고 있는 M.2 SSD에 비해
성능이 상대적으로 조금 부족하다는 것이겠네요 :)

 

2) SATA3 M.2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6078371&keyword=M.2+SSD&cate=112760

 

Western Digital WD Blue 3D M.2 SATA (2T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M.2 (2280) / SATA3 (6Gb/s) / 3D낸드 / 컨트롤러: 마벨 / [성능] / 순차읽기: 560MB/s / 순차쓰기: 530MB/s / 읽기IOPS: 최대 95K / 쓰기IOPS: 최대 84K / [지

prod.danawa.com


위 제품은 SATA3 방식으로 돌아가는

Western Digital WD 사의 M.2 SSD입니다.

위의 삼성 2.5인치 SSD와 비교했을 때,

속도면에서 특출 나게 더 빠르거나 하진 않습니다.

다만 메모리 칩과 같은 소형으로 나왔기 때문에

PC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어서

gram 과 같은 초경량 노트북이나, 테블릿 등에 사용이 되고,

데스크톱에도 물론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까 위에 2.5인치 SSD 하드를 설명드리면서 말씀드렸듯이

수명에 있어서는 2.5인치 SSD가 뛰어납니다.

그리고 아래의 m.2 SSD 그림을 봐주세요.


표시된 부분을 보시면 짧은 면이 양쪽에 1개씩, 가운데에 긴 면이 하나 있죠?

이렇게 생긴 m.2 SSD를 일컬어

M.2(2280) 규격이라고 합니다.


이 규격은 아주 중요한 정보입니다.

왜냐하면 PC를 조립하시면서 부품을 조합하실 때

메인보드 구매 시 어떤 m.2 SSD 규격을 장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시고,

그에 맞는 m.2 SSD를 구매하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조립PC를 알아보실 때 메인보드가 하드디스크보다는 더 우선됩니다.

원하는 CPU나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모두 호환 가능한 메인보드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메인보드 제품의 상세 정보를 찾아보시면

아래와 같이 M.2 연결 및 M.2 폼팩터라는 정보가 표출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하셔서 장착 가능한 m.2 SSD가 무엇이 있는지 인지하시고,

장착 가능 수량에 대해 규격별로 확인하셔서

그에 맞게 구매하시고, 장착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

 

3) NVME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13562693&keyword=nvme+ssd&cate=112760

 

삼성전자 980 M.2 NVMe (500G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M.2 (2280) / PCIe3.0x4 (32GT/s) / NVMe 1.4 / TLC(기타) / 컨트롤러: 삼성 Pablo / [성능] / 순차읽기: 3,100MB/s / 순차쓰기: 2,600MB/s / 읽기IOPS: 400K / 쓰기I

prod.danawa.com



정말 빠르다! 이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가장 많이 구매하시는 SSD 인 듯합니다.

장점은 정말 빠르다!

단점은? .. 잘 모르겠다 ^^ 이런 느낌이네요

다만 혹시 현재 사용 중인 m.2 SSD가 있었는데,

NVME SSD로 사용하고 싶으신 상황이라면

현재 PC의 메인보드가 NVME SSD를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고, 구매/교체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저는 보통 다나와 사이트에서 부품들에 대해 리서치를 하는데,

https://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EB%A9%94%EC%9D%B8%EB%B3%B4%EB%93%9C+nvme

 

메인보드 nvme 통합검색 : 다나와 통합검색

'메인보드 nvme'의 다나와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danawa.com

 

아래와 같이 메인보드 규격 중에 NVMe라는 게 크게 표시되어 있으니

이 부분을 꼭 확인하시고, 구매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SATA3 M.2 SSD나 2.5인치 SSD의 경우에는

각각 4년 이상 사용을 해봤기 때문에 실 사용에 대한

비교 판단이 가능해서,

수명이나, 잔고장에 대해서는

2.5인치 SSD가 뛰어납니다 ! 라고 말씀을 드렸지만

NVME같은 경우는 이제 1년이 다 되어 가기 때문에

실사용을 4년 이상 해보고,

느낀 점들이 정리가 되면 2~3년 뒤에

내용 최신화를 해서 콘텐츠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

자! 오늘은 SSD 하드디스크에 대해 나누어 보았습니다.

여러 규격이 있고,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PC를 업그레이드하실 때도,

신규 구매하실 때도

알아두시면 좋을 내용이라 생각해서 나누게 되었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