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INTRO. PC 복구용 하드디스크 생성 또는 운영체제(OS)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작업이란? 

 

● PC 복구용 하드디스크 생성 → PC가 고장 나서 부팅이 되지 않을 때 언제든 복구할 수 있도록 복구용 하드디스크를 생성한다.

● 운영체제(OS)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작업 → 운영체제(OS) 관련된 모든 데이터 파일들을 특정 타겟 하드디스크로 복사한다.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쉽게 말해 PC가 고장나서 부팅이 되지 않거나, OS(운영체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복구하기 위해 복구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를 생성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후부터 저는 빠른 설명을 위해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작업이라고 표현을 하겠습니다. 자!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품 및 솔루션이 사전적으로 필요한데 앞서 제목으로 말씀드렸듯 삼성(samsung) 하드디스크와 삼성 마이그레이션 솔루션(Samsung migration solution)이 필요합니다. 왜 삼성 제품을 콕! 집어서 추천을 하냐고요? 다 이유가 있습니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 적절한 비용으로 마이그레이션에 필요한 작업을 간단히 그리고 많은 제약을 뛰어넘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세부적인 이유에 대해 궁금하시겠지만 먼저 마이그레이션 과정 및 소요시간에 대해 설명드리고, 결론 부분에 가서 못다 얘기한 사설들을 풀어보겠습니다. 아마 설명 과정중에 왜 삼성 하드디스크를 쓰셔야 하고, 왜 삼성 마이그레이션 솔루션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HOW. 삼성 하드디스크를 활용하여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해 보자.

 

자! 먼저 아래와 같은 제품이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용도 제품명 제품이미지 제품구매링크
하드디스크 삼성전자 970 EVO Plus M.2 NVMe(500GB)

https://link.coupang.com/a/MKe4B
하드디스크 ↔ PC 연결용 nextu C타입 NVMe M.2 도킹 스테이션 NEXT-M2288DCU3
https://link.coupang.com/a/MKfZ7

위와 같이 제품을 구매하시고나서 삼성전자 970 NVMe 하드디스크를 Nextu C타입 도킹 스테이션의 Source 부분에 연결하시고, 도킹 스테이션의 후면부의 PC포트에 양쪽 C타입 형태의 케이블 한쪽을 연결하시고, 나머지 한쪽을 PC의 C타입 포트에 연결해 주시면 됩니다. 만약 C타입 포트가 없으시다면 한쪽은 C 타입, 한쪽은 USB 타입인 케이블을 이용해서 도킹 스테이션과 PC를 연결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셔서 삼성 마이그레이션 툴(Samsung Migration Tool)을 다운로드하신 후 설치합니다.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MZ-76E4T0BW/

 

Samsung 대한민국

 

www.samsung.com

 

설치과정은 어렵지 않습니다. 약관 동의 후 다음~다음~을 눌러서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삼성 마이그레이션 툴을 설치한 후 실행하시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표출됩니다. 

 

마이그레이션 방법은 간단합니다. 원본 드라이브에는 현재 사용중인 OS용 하드디스크가 선택되어 있을 것이고, 

아래의 대상 드라이브 부분에서 앞서 도킹 스테이션으로 연결한 삼성 하드디스크를 선택해 주신 후 맨 아래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눌러주시면 현재 시점 기준으로  운영체제(OS)의 설치 프로그램, 설정, 기타 모든 데이터 파일들을 복사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256GB 하드디스크 기준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하는데 10분 정도가 걸렸습니다. 어떻게 체감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이 속도는 정말 빠른 마이그레이션 속도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OS용으로 사용되는 하드디스크가 일반 SATA HDD든, SSD HDD든 M.2 SSD HDD든 NVMe SSD HDD든 상관없이 타켓으로 연결된 하드디스크에 정상적으로 현재의 운영체제(OS) 이미지를 복사해 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포스팅을 통해 추천드리는 거고요.

 

저는 앞으로 개인PC든 회사 업무용 PC든 삼성 하드디스크를 구매해서 유지관리할 것입니다. 

 

※ [주의] 삼성 하드디스크가 아닌 다른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경우 아래의 '시작' 버튼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END. 마이그레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은? 

보통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이용해서 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보통 복사하는데 256GB 하드디스크 기준으로 30분 정도가 소요되며 원본(Source) 하드디스크와 복사(Target)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다른 경우 1시간 이상의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에 추가 구매 비용이 듭니다. 최소 구매 비용이 7만원~8만원 이상은 되지요. 위의 과정으로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한다면 하드디스크 구매 비용(6만원)에 하드디스크 복사기 구매 비용(8만원)해서 총 14만원의 비용이 발생됩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복사기에 있는 연결 포트가 맞지 않으면 맞는 젠더를 구매하셔야 하고 또 젠더를 구매하신다 해도 그게 모두 호환이 잘돼서 하드디스크 복사가 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저와 같은 경험을 많은 전산관리자분들은 한 번쯤은 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아무튼 이러한 많은 비용들을 들이지 않고 5~6만원 정도로 삼성 하드디스크만 구매하고 삼성에서 제공해 주는 마이그레이션 솔루션을 활용해서 10분~20분 내에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은 정말 많은 제약들을 해소시켜 주고, 비용적인 걱정을 덜어주는 혁신과도 같은 일인 것이지요. 

 

이 글을 읽고 오 ! 이런 것이 있네 하고 알게 되실 분들도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몇년동안 하드디스크 복사기를 이용한 마이그레이션과 윈도우 복구 이미지를 통한 복구 이 두 가지 방법만을 가지고 PC를 관리해 왔는데 삼성에서 제공해 주는 마이그레이션 솔루션을 알았더라면.. 아 정말 더 편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오늘의 공유와 나눔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꾸욱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도움이 되고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레지스트리 편집 시 유의할 점입니다.

보통 구글링이나, 서치를 통해 많은 자료들을 보면

문제 상황 발생 시 레지스트리 변경을 시도하도록 하는 많은 안내글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한 유의사항이라던지 변경 전에 레지스트리를 백업해 놓고,

문제 상황 발생 시 복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안내 글은 비교적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레지스트리는 PC에 있는 전반적인 설정 값들의 집합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PC를 쓰면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들은 해당 설정값들에 의해서

처리되기도 하고, 안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보통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해서 PC 사용 중 번거롭거나 불편한 부분이 있으면

해당되는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해서 문제를 해소하곤 하지요.

그러나 레지스트리 값 변경은 항상 유의해서 잘 판단하셔서 작업을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한 번의 변경/삭제로 운영체제(OS)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인 오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해야겠다고 결정하셔도,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여 레지스트리 값을 백업해 놓으셔야 하고

문제 상황이 실제 발생하면 그때 복구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해결하시면 되는 겁니다.

1. 레지스트리 백업 방법

 

레지스트리 백업 방법은 간단합니다.

우선 작업표시줄 좌측 하단에 있는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레지스트리"로 검색하시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라는 메뉴가 표출됩니다.

 

메뉴를 선택하시면 레지스트리 편집 화면이 표출되고요,

여기서 필요한 경로로 이동해서 백업하고자 하는 레지스트리 폴더를 찾아

우클릭하시고, 내보내기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어디에 저장할지 물어보게 되는데,

백업해 놓고 싶으신 경로로 지정해서 파일명을 지정하여 저장합니다.

2. 레지스트리 복구 방법

백업한 레지스트리 파일(.reg)을 문제 상황이 발생해서

다시 복구하려 하는 경우! 복구 방법은 간단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창을 동일한 방법으로 여시고 나서

파일 메뉴 선택 > 가져오기를 선택한 후

기존에 백업해 놓으신 레지스트리 파일(. reg)을 선택해서

"열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자! 간단하지요?!

앞으로 레지스트리 값 변경을 하시는 경우에는

꼭 기존 레지스트리 폴더를 백업해 주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여러 번의 편집을 하다가 당장 아무런 증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갑자기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되면, 복구할 방법을 찾지 못한 채 발을 동동 구르시다가

결국 윈도우를 재설치하고 하는 불편한 시간들이 소요될 수 있으니

C나 D폴더에 레지스트리 백업 관련 폴더를 하나 만드셔서,

언제든 문제 상황 시 복구하실 수 있도록

복구 체계를 만들어 놓으시길 권장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또는 구독 꾹! 눌러주세요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처음 티스토리를 시작할 때 꼭 올리고 싶었던 콘텐츠였습니다.

드디어 첫 글을 작성하게 되네요!

업무로도, 개인적으로도 일상에 늘 가까이 있는 PC에 대해

얼마나 많이 다룰 수 있으신가요?

보통 PC 사용 전에는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됩니다.

① "PC를 사고 싶은데 어떤걸 사야하지?"

② "아. 요즘 조립 PC가 유행하던데 나도 PC 조립을 한 번 해볼까?"


그리고 PC 사용 중에는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됩니다.

③ "지금 쓰고 있는 PC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정도일까? 아니면 새로 사야할까?"

④ "알아보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내가 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자! 오늘은 PC 조립이란 게 생각보다 많이 어렵지 않구나 하는 것을 알려드리고

PC 조립을 한다고 하셨을 때 어떻게 개념적으로 접근을 하셔야 하는지를

쓰윽! 훑고 지나가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후 과정에서는

PC 사용 목적에 대해 정의 및 가격 범위 고정
▶ PC 부품 구매
▶ PC 조립
▶ 기본 PC 환경세팅
▶ PC 사용 시작!


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읽으시면서 도움이 되셨거나 이해가 되시면 공감 버튼 꾸욱! 눌러주시고요

앞으로도 제 콘텐츠에 대해 힘을 실어주시고, 함께 해 주실 분들께서는 구독 버튼도 꾸욱! 눌러주세요.

① PC를 사고 싶은데 어떤 걸 사야 하지? >>> ② 나도 PC 조립을 한 번 해볼까?


PC를 고려하실 때는 아래의 정도로 나누어집니다.

각 구분에 대해 잡으셔야 하는 예산 범위에 대해 정해드리겠습니다.

※ 가격은 OEM 제품이 아닌 조립 PC를 구매한다는 전제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OEM PC(LG, 삼성 등) 은 조립PC 예상 가격보다 10만원~20만원은 더 비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무상 AS기간과 이상 상황 시 언제든 AS를 부를 수 있다는 안정적인 장점이 있지요.

생각보다 부를 일이 없기도 합니다. ^^;;)

▩ 일상 사용 목적(문서 작업, 인터넷 서핑, SNS, 너튜브 시청 등)
- 가격 범위 : 50만원 ~ 70만원(적정 가격은 : 60만~70만원 추천!)


▩ 캐드, 사진, 그림 편집, 적당히 게임이 잘 돌아가는, 중간 사양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사용 목적
- 가격 범위 : 70만원 ~ 100만원(적정 가격은 : 100만원 추천!)


▩ 영상 편집, 게임이 너무 게임이 잘 돌아가는,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사용 목적
- 가격 범위 : 100만원 ~ 150만원(적정 가격은 : 130만원~140만원 추천!)


이 정도 가격 범위를 가지고 조립 PC를 구매하실 때 예산을 고려하심이 좋습니다.

위의 세 가지 가격에 대해 어떻게 저렇게 갈리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PC 가격과 사양을 좌우하는 부품은

▦ PC 안에서의 데이터 처리, 연산 등의 작업을 담당하는 CPU


▦ 그래픽 처리에 대한 부분을 담당하는 그래픽 카드


▦ 모든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이자, 필요한 만큼의 전기가 흘러가도록 지원해 주는 메인보드


이 세 가지 부품입니다.

제가 자주 애용하는 다나와 사이트의 인기상품들을 참고로 해서 가격 범위를 찾아보면

메인보드 20만원에서 비싼 건 80만원 정도 가격선

그래픽카드30만원에서 비싼 건 180만원 정도 가격선(대단하네요..180만원..)

CPU30만원에서 60만원 정도입니다.

부품을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가격 범위는 많이 달라집니다.

제가 위에서 예산 범위를 70만원 - 100만원 - 150만원으로 정해드린 이유는

목적에 맞게 그 정도 욕심만 부리셔도 충분히 목적에 맞는 만족을 이루실 수 있기 때문에

상한선을 정해드렸습니다. ( 여유가 더 되셔서 더 비싼 걸 구해하시면 더 좋긴 하지요. )

이렇게 가격 범위를 정하고 나서,

조립을 하겠다! 마음먹게 되시면 부품을 알아보기 시작하십니다.

부품을 알아보실 때 꼭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 먼저 PC 조립에 필요한 구성 부품들을 설명해 드릴게요!

 


첫 번째는 메인보드 입니다.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메모리, CPU 등이 장착되고,
관련 케이블(하드디스크 케이블,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인터넷 케이블, 영상 출력 관련 케이블 등)이
연결되어 각 부분에 필요한 전기와 신호를 넘겨주는 장치입니다.

두 번째는 CPU 입니다.

CPU

 

PC에서 이뤄지는 주요 연산과, 데이터 처리 등의 작업을 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메인보드에서 이 부분에 장착이 되고 열의 누적을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에 쿨러를 장착해서 내부의 열을 밖으로 빼내도록 세팅합니다.


CPU 구매 시 유의하실 부분은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을 꼭 체크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구매 시 위에 보시는 것처럼 인텔(소켓1700) 을 보시고,

메인보드에서 동일한 인텔(소켓1700)을 만족하는지를 꼭 체크하시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세 번째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그래픽카드


앞서 말씀드렸지만 일반용으로 사용하시는 PC의 경우에는

외장 그래픽카드를 굳이 장착하지 않고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법은 그래픽카드가 내장된 CPU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그래픽카드가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나왔지만,

지금은 CPU 안에 그래픽카드를 내장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단,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모든 CPU가 그래픽카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외장 그래픽카드 장착 없이 사용하고자 하실 때는 내장 그래픽 탑재 여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추가해서 말씀드리자면,

CPU 구매 시 별도의 쿨러를 구매해서 장착하시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그런 계획이 없으시다면 CPU 구매 시 기본 쿨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도 함께 확인하셔야 합니다.

쿨러 없이 CPU를 사용하시면 얼마 가지 못해 발열을 견디지 못하고

PC가 멈추게 되고, 결국엔 꺼지게 될 것입니다.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위해 외장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부분을 고려하셔서 구매하셔야 합니다.

▦ 메인보드와의 호환성 체크


▦ 메인보드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 확인


▦ 고사양 그래픽 카드 구매 시 그만큼의 전력 소모가 있기 때문에 고출력 가능한 파워서플라이 구매 고려


▦ 최종 장착 후, PC 케이스의 뚜껑을 닫을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

위의 4가지 부분을 모두 고려하셔서 문제가 없는지 확실히 확인하신 후 그래픽 카드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비싼 돈으로 힘들게 샀는데 장착을 할 수 없다면 게다가 제품 스티커도 다 떼고

장착하면서 스크래치도 입혔는데 결국 장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정말 생각만 해도 슬픕니다. 꼭 고려를 해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카드 구매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추후 콘텐츠를 작성해서 올리겠습니다.

 


네 번째는 메모리 입니다.

메모리



PC가 동작하는 데 있어서 메모리도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메모리는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더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PC가 켜져 있는 동안

자주 사용할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으면서 CPU로부터의 작업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일반용 PC의 경우는 4GB 메모리를 듀얼(2개)로 해서 8GB 장착을 추천드리고요,

중간 사양 이상이라면 8GB 메모리를 듀얼(2개)로 해서 16GB 장착을 추천드립니다.

가정용으로 쓰는 PC인데 메모리를 16기가 보다 더 크게 사용한다?! 그렇게 추천드리지 않고요

그만큼 엄청 빨라지는 효과를 얻진 못하실 겁니다.

(CPU,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가 가장 빠른 속도 개선을 이루어 냅니다.)

메모리 구매 시 유의해야 할 부분은 CPU, 메인보드와의 호환성 여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제품의 메모리 부분을 보시면 DDR4, DDR5 .. 라는 규격들이 있는데,

동일한 규격을 만족하는 조건이 되어야 장착하셨을 때 문제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꼭 유의해서 알맞은 제품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다섯 번째는 하드디스크입니다.

하드디스크



보통 하드디스크를 구매하실 때는

SSD(2.5인치) HDD 1개로 OS를 관리하고,

SATA(3.5인치) HDD 1개로 데이터 백업/관리에 사용합니다.

만약 옛날 PC라 SATA로만 PC가 조립되어 있다면 부팅부터 엄청 속도가 느립니다.

이런 경우 하드디스크만 SSD로 바꾸셔도 부팅 속도도 개선되고,


전반적인 PC 사용에 속도 개선이 조금 되실 겁니다.

어느 순간부턴가 SSD가 m.2 규격이라 해서 메모리칩과 같은 사이즈로 출시가 되고 있습니다.


경량이고, 사이즈가 작아 공간적인 제약을 줄여주는 효과는 있는 것 같으나,

사용해 본 결과 기존 SSD SATA 를 사용할 때보다는 수명적인 부분이 확실히 짧습니다.
(최대 3년 정도 사용 시 쓰기 수명이 0이 되어, 부팅이 느려지거나, PC 사용 중 느림 증상 발생 가능성 높음)

만약 m.2를 사용하신다면 메인보드에 호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표시된 부분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M.2 와 NVMe 는 엄연히 다릅니다. 유의하셔서 확인하십시오.

 

 


여섯 번째는 파워서플라이 입니다.

파워서플라이



자!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메모리, CPU, 기타 주변기기(USB, 핸드폰 충전기 등)가 메인보드에 장착될 때

메인보드는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절히 나누어 각 장치로 전원을 공급해 줍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정격 출력과 기타 안전/효율 기능에 따라 가격대가 형성됩니다.

이때 조립하시는 분들께서는 각 부품(그래픽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기타 기기 등)의 최대 사용 전력을

예상하여 계산하셔서 PC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얼마큼의 전력이 필요한지를 계산해 보셔야 하고,

필요한 총 전력(W)을 감당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각 기기에 맞는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특정 장치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고,

그로 인해 이상 증상 및 PC가 멈추고 꺼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해 주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큰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하시는 것도 지양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파워서플라이가 해당 전력을 공급하는 만큼 집의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 ^^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는 PC케이스 입니다.

PC 케이스



PC 케이스는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까지 안내드린 부품들을 안에 보관해 주면서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 수분들도 막아주고

발생할 수 있는 소음도 적절히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미들타워 케이스를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사이즈가 여유 있는 만큼

부품(기능성 쿨러, 하드디스크)을 추가 장착하기에도 용이하고,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슬림형 보다는 좀 더 편하게 내부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많이 편하더라고요. 겪어 보시면 압니다. ^^

③ "지금 쓰고 있는 PC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정도일까? 아니면 새로 사야 할까?"
④ "부품을 알아보니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내가 할 수 있을까?"


위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은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위에 제가 설명을 드린 것처럼

사용 목적과, 예산을 정하고

현재 PC의 부품 목록을 정리해 놓고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품(CPU, 그래픽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파워서플라이 등)을 정하고,

이것이 현재 PC에 호환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했을 때

가능하다면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고,

- 물론, 스스로 부품 교체를 하셔서 PC 업그레이드하실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 앞으로 실제 업그레이드 사례와, 부품 교체 사례를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그게 안된다면 새로운 PC를 맞춰야 할 것입니다.


자 ! 오늘은 PC 조립이라는 것에 대해 큰 틀에서의 고려 과정과

각 부품 구매 시 꼭 고려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요약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적다 보니 내용이 줄여지지 않고, 계속 적을게 생각이 나서 작성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 ;;

그래도 이렇게 나눠드린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PC에 대한 부담감? 모른다는 걱정? 낯섦이 해결되셨으면 하는 목적으로

이런 콘텐츠를 제작하게 된 거니까요

이후에는 각 부품별로 해서 제품 비교와 사용 사례들을 정리해서

보다 세부적인 내용들이 공유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작해 보겠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언제든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임의의 알파벳으로 연결하는 방법

파일 존재 유무를 체크하는 조건문을 생성해서, TRUE/FALSE에 따라

파일을 복사하거나, 메세지만을 표출하고 종료하도록 하는 배치 파일 예제를 설명드렸었고,

한글이 포함된 배치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하는 경우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인코딩 문제에 대해 말씀드리면서

UTF-8 이 아닌 ANSI 로 인코딩 설정을 바꿔주어 한글에 대한 처리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노하우를 전해드렸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아래 링크 참조▼]

https://itchapter.tistory.com/5

 

[배치파일(.bat) 정보공유]네트워크 연결, 파일 존재 여부에 따른 처리( 조건문)가 포함된 배치파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배치 파일의 정의, 사용 목적, 배치 파일 생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https://itchapter.tistory.com/3?category=1071190 [배치파일

itchapter.tistory.com


자 ! 오늘은

작업 스케줄러를 배치 파일을 통해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직접 찾아가서 설정하면 되지 왜 배치 파일을 이용해서 설정을 하려고 하냐고 물어보실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답변을 드리자면 현재 제가 안내를 드리고 있는 배치 파일 활용#1 부터 ~~~ 강의들은

단일 PC, 개인 PC에서 일회성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만 고려해서 설명드리고 있지 않습니다.

관리하는 많은 PC에 주기적으로 원하는 작업들을 하도록 하게 하고 싶은데,

그걸 하나씩 하려고 하면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제가 관리하는 PC가 100대 정도가 되는데

거의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가 걸립니다. 다른 업무도 해야 하는데 정말 힘들고 지치지요.

그래서 배치 파일을 이용해서 하면 웬만한 설정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실용적인 부분들을 기능별로 나누어서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몇 가지 되지 않지만 배치 파일에 대한 제 콘텐츠를 개념으로 숙지하시고 나면

조금 더 편하게 PC를 제어할 수 있게 되실 거라고 확신합니다.

또 말이 길었네요 ;;^^

오늘 알려드릴 작업 스케줄러에 작업을 등록하게 하는 배치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SchTasks /Create /TN "[작업 스케줄러명]" /TR "[실행 파일명]" /ST 09:15 /RL HIGHEST /sc weekly /mo 1 /d MON,TUE,WED,THU,FRI /f

한 줄로 길게 보면 무엇인지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분할해서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SchTasks /Create :: 작업스케줄러의 작업을 생성한다.
/TN "[작업스케줄러명]" :: 작업명을 정의한다.
/TR "[실행파일명]" :: 실행파일을 지정한다.
/ST 09:15 :: 시작시간을 지정한다.
/RL HIGHEST :: 관리자 권한(최고 권한)으로 실행한다.
/sc weekly :: 매주
/mo 1 :: 매 1주마다
/d MON, TUE, WED, THU, FRI :: (월, 화, 수, 목, 금요일) 에만
/f :: 중복된 작업이 있더라도 강제로 재생성 한다. (작업을 덮어쓰기 한다. / 강제 실행 명령)

※ 대괄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게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포맷 오탈자 없도록 철저하게 입력, 쓸데없는 공백 생성하지 않기)

어느 정도 이해가 되시지요? 완벽하게 이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계속 반복해서 보시다 보면 조금씩 이해가 되실 겁니다.

작업 스케줄러는 위의 예시에 있는 것으로 모두 담기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른 많은 옵션과 설정 명령들이 있습니다.

아래에 링크를 남겨 놓겠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server/administration/windows-commands/schtasks-create

 

매개 변수 만들기

작업을 자동화하는 schtasks create 명령에 대한 참조 문서입니다.

learn.microsoft.com


위 사이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제공하는 정보 사이트입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배치 파일을 만들고 싶으실 때 이곳에 정보가 다 있으니 원하는 설정 내용을 찾으시고,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을 완성하셔서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자! 오늘은 작업 스케줄러를


이렇게 직접 검색해서 열고 들어가서, 또 설정을 일일이 클릭하면서 하고, 작업명을 입력하고..

하는 과정 없이 배치파일을 통해 한 번에 딱!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용해 보시면 정말 편하실 겁니다.

제가 나누어 드리는 내용들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배치 파일을 실행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싶은데,

마치 오류가 발생하거나, 이상 행위를 하는 것처럼 보안 안내창이 표출이 되는 경우에 대해

안내창이 표출되지 않도록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해 주는 스크립트를 배치 파일에 포함시키는 것과

배치 파일을 실행할 때 검정창이 뜨면서 주루룩~~~~ 화면이 보여지는 부분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처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서

방법을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다음 강의 때 뵙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