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PC 를 사용하시다 보면

엇! 평소에 쓰던 아이콘이 아닌데?

왜 바뀌어 있지??

그리고 아이콘이 바뀌었는데

실행도 이상하게 되네? 오류가 나네? 왜 그러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경우를 통해

현재 사용하는 파일 확장자에 대해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이 변경된 것이 원인입니다.

그런 경우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황을 나누어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첫 번째, 아이콘 모양만 다른 경우(아이콘 모양이 깨진 경우)


위 경우는 아주 간단합니다.

컨트롤 키 + R 를 누르시면 실행창이 하나 열립니다.


그러면 검정색 창이 하나 열리지요.

그곳에 아래의 내용을 그대로 메모장 같은 곳에 작성하시고,

taskkill /f /im explorer.exe
attrib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 -r -h
del /q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tart explorer.exe

검정 화면(커멘드 화면 Command)의

빈 영역을 클릭하신 후

우클릭 딱! 해주시면 주르륵! 하면서

화면이 반짝하실 겁니다.

위의 작업은 현재 PC 내

아이콘 표출을 관장하는 부분에 대해

쌓여 있는 캐시를 비워버리고,

새롭게 재정비를 하겠다는 명령입니다.

그래서 보통 바로가기 아이콘 또는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실행 프로그램(앱)을

고정해 놓고 쓰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 부분의 아이콘이 깨져 있는 경우 등..

이 경우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프로그램(앱) 실행에 대한 기본 실행 프로그램(앱)이 변경된 경우

위의 경우는 다릅니다.

아이콘의 단순 깨짐의 문제가 아니라

실행하고자 하시는 파일을 실행할 때

사용하게 되는 기본 프로그램(앱)의 설정이

다른 엄한 프로그램(앱)으로 되어 있는 겁니다.

이 경우는 해당 파일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을 변경해 주셔야 합니다.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실행 파일을 직접 선택해서 설정하는 방법이고요,

하나는 전체 확장자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설정을 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파일 직접 선택 후,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 변경 방법은

먼저 파일 클릭 후 > 우클릭 > 연결 프로그램 커서 이동

> 다른 앱 선택(C)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기본 프로그램(앱)으로 설정하기 원하는

프로그램을 클릭하신 후,

아래의

"항상 이 앱을 사용하여 .xxx 파일 열기"를

꼭 체크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원하는 프로그램(앱) 목록이 보이지 않으신다면

스크롤을 쭈욱~ 내려보시고,


"이 PC에서 다른 앱 찾기"를 클릭하시면

탐색기 창이 하나 열립니다.

이 탐색기 창에서 원하시는 실행 파일을 찾아

선택 후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 추가 문의는 댓글 주세요 :)

자 ! 또 다른 방법 전체 확장자에 대한

설정 기본 프로그램(앱)을 확인하고,

원하는 확장자에 대해

기본 프로그램(앱)을 바꾸고 싶으시다면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좌측 작업 표시줄의 윈도우 로고를 우클릭 하시고,

앱 및 기능을 선택해 주세요.

그리고 좌측의 "기본 앱" 탭을 선택해 주시고,

파일 형식별 기본 앱 선택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현재 윈도우 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체 확장자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이 표출됩니다.

여기서 스크롤을 쭈욱~ 내려가시면서

원하시는 확장자를 찾으시고,

그 확장자 파일을 실행할 때

사용했으면 하는 기본 프로그램(앱)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자 ! 그런데 만약

매일 실행하긴 했는데,

이 파일의 확장자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경우는 파일 우클릭 후 > 속성을 클릭하시면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 근데 보니

여기서도 변경을 눌러 기본 프로그램(앱)을

변경할 수 있네요 :)

참고하세요!

자! 오늘은

잘 열던 파일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때?

아이콘 모양이 깨졌을 때?
(엄한 아이콘이 표시될 때)

이런 당황스러운 상황에 있어서

해결하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구독! 버튼 꾸욱 ~~~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실용적이고, 자주 궁금해하실 만한

주제들을 가지고 다음 콘텐츠로 뵙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가끔 PC를 켜실 때 윈도우 진입음이 너무 커서

 

깜짝 놀랐던 적이 있으셨나요?

 

전날에 영화를 봐서 너무 소리를 크게 해 놨었구나.. 하면서

 

기억도 떠올려보시고..^^;;

 

그런 불편함이 없게끔 PC를 켤 때 음소거를 한 채로 시작할 수 있다면?

 

이렇게 놀라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겠죠?

 

오늘은 PC를 켤 때 

 

음소거가 된 채로 윈도우로 진입할 수 있도록 

 

vbs 파일과 작업 스케줄러 기능을 활용해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음소거 기능을 실행할 vbs 파일 만들기

vbs 파일은 Visual Basic Script 의 약자로서 

 

Visual Basic 언어를 활용해서 PC를 제어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말합니다. 

 

이 파일을 이용해서 배치파일(.bat)을 화면 표출 없이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콘텐츠로 안내드렸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itchapter.tistory.com/17

 

[배치파일(.bat) 정보공유]배치 파일 실행 시 보안 경고/알림창 표출 안되게 하는 방법 및 배치 파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작업 스케쥴러를 배치 파일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고, 작업 스케줄러에서 상세 속성들 포함 한 줄의 명령어로 생성하기 위해 마이

itchapter.tistory.com

 

자! vbs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파일명은 sound_off.vbs 입니다. 

 

빈 텍스트(.txt) 파일을 하나 만드시고, 

 

sound_off.vbs 로 파일명 및 확장자명을 변경합니다. 

 

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경고창이 표출돼도, 예! 누르고 진행합니다. 

 

만약 파일의 확장자가 보이시지 않다면 

 

폴더 옵션에 가셔서 아래와 같이 해당 부분의 체크를 풀어주셔야 합니다. 

 

참고하시고요. 

 

아래와 같이 sound_off.vbs 파일을 생성해 주시고, 

 

파일 우클릭 선택 > 편집을 누르신 후 

 

아래의 스크립트를 입력하시고, 저장하시면 됩니다. 

 

set shell = CreateObject("WScript.Shell")
shell.run"Sndvol"
WScript.Sleep 1500
shell.SendKeys"{TAB}"
shell.SendKeys" "
shell.SendKeys"%{F4}"

그렇게 만들어진 sound_off.vbs 를 실행하시면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PC가 음소거 처리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작업 스케줄러 기능을 활용 윈도우 진입 시, 음소거 처리 vbs 파일 실행 스케줄 등록

 

이제는 만든 sound_off.vbs 파일을 

 

윈도우 시작 시 자동 실행되도록 작업 스케줄러에 등록을 해주시면 됩니다. 

 

먼저! 작업표시줄 좌측 아래에 있는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작업 스케줄러를 검색하셔서, 실행합니다. 

 

실행 후에 일반 탭에서는 작업명을 입력해 주시고, 

 

맨 아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권한으로 실행"을 체크해 줍니다.

 

그리고 윈도우 시작 시 라는 이벤트를 설정하는 것은

 

트리거 탭에서 진행합니다.

 

 

작업 시작 옆 콤보 박스에서 "시작할 때"를 선택해 주시면 되고요,

 

동작 탭에서 아까 만든 sound_off.vbs 파일을

 

아래와 같이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모든 설정을 마치신 후, 우측 아래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위의 모든 과정을 진행하시고,

 

재부팅을 진행해 보시면 음소거가 자동으로 처리돼서 

 

윈도우 진입음 없이 윈도우가 조용히 시작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유익한 내용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