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은 잘되던 인터넷이 갑자기 끊겼다? 잘 되지 않는다 했을 때 

 

여러 가지 시도를 해보시는 과정 중 

 

보통 집에서 사용하시는 인터넷의 경우는 DHCP라 해서 

 

통신사로부터 외부 IP(211.xxx.xxx.xxx)를 자동으로 할당받아서

 

사용하고 계실 겁니다. 

 

DHCP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 DHCP 관련 설명)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server/networking/technologies/dhcp/dhcp-to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 항목에서는 Windows Server 2016 DHCP(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learn.microsoft.com

 

이렇게 자동으로 할당받아 사용 중인 인터넷이 갑자기 잘 안되면 

 

조치를 하시라고 하는 방법 중 하나가 할당받은 외부 IP에 대해 

 

갱신을 시도해 보라는 가이드가 많습니다. 

 

그에 대한 명령이 ipconfig/renew 인데요.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ipconfig/renew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 위와 같이 

 

미디어의 연결이 끊긴 상태에서는 로컬 영역 연결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표출된다면, 

 

그리고 

 

통신사에 문의하셨을 때 인터넷 회선이 정상이고, 

 

또한 PC까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선 상태가 정상적이라면

 

아래의 과정들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다시 잡아 보셔야 합니다. 

 

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WINSOCK 및 IP 스택 재설정

 

작업 표시줄 좌측에 보이시는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cmd를 검색한 후 명령 프롬프트를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그러고 나서

 

아래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netsh winsock reset catalog

 

netsh int ipv4 reset reset.log

 

각 명령어 실행시마다 명령어들이 뜨면서 이것저것 진행됩니다. 

 

2.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이더넷 활성화 상태 확인]

좌측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제어판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고 나서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현재 잡혀 있는 인터넷이

 

잘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시고, 

 

활성화 되어 있지 않으면, 우클릭 후 "사용"으로 상태를 바꿔주시고, 

 

만약 활성화 되어 있지만 증상이 동일한 상태라면 우클릭 후 "사용 안 함"을 하셨다가

 

다시 우클릭 후 "사용"으로 바꿔서 재활성화를 해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위와 같이 작업하시면

 

"미디어의 끊긴 상태에서는 로컬 영역 연결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는 표출되지 않을 것이고, 인터넷도 잘 되실 겁니다. 

 

만약 안되신다면 또 다른 확인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인터넷이 안될 때 전반적으로 확인하는 과정들에 대해서 

 

정리해 놓은 글이 있어서 아래로 링크를 남겨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itchapter.tistory.com/8

 

[이렇게해보세요 #1]인터넷이 안되는 문제 관련 대응 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은 PC를 사용하시면서 가끔 부딪히는 문제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바로 "인터넷이 안돼? 왜 그러지?" 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 발을 동동 구르시면서 보통은

itchapter.tistory.com

답변이 문제 해결에 꼭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퀵런처(Quick Launch) 입니다.

윈도우10을 설치할 때

작업 표시줄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실행 중인 앱에 대해 그룹별로 표시가 됩니다.

보통 작업 표시줄의 설정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저는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에 표출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가 제약이 있기에

실행 앱별로 그룹 표출이 되게 하고, 작은 아이콘으로 표출되게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작업 표시줄에 표출되는 실행 앱 아이콘 표출에 대한 설정은 모두 했으나,

자주 사용하는 앱을 정말 작은 규모의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

어떻게 설정을 해줘야 할까요?

 

퀵런처(Quick Launch) 설정 방법  


퀵런처 설정 방법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차분히 따라와 주세요.

①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한 번 더 눌러 해제해 주세요>


② 작업 표시줄 우클릭 > 도구 모음 > 새 도구 모음 클릭


③ 탐색기가 열리면 "폴더:" 란에 "shell:quick launch" 입력 후 폴더 선택 버튼 클릭
※ 이후 enter를 두 번 눌러주시거나, 폴더 선택을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④ 작업 표시줄에 Quick Launch 생성 확인 후, 우클릭해서 퀵런치 설정

Quick Launch 가 설정되어 작업 표시줄에 표출되었는데

만약 우클릭 시 위의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작업 표시줄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꼭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가 체크가 되어 있을 때는 등록된 모든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해

세부 정보가 함께 표출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저는 제목, 텍스트 표시 모두 체크 해제를 하고 나서

아래와 같이 아이콘만 표출되도록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퀵런처를 사용해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었습니다.
※ 퀵런처 표출 창 이동은 세로로 된 두줄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신 채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를 하시면 됩니다. 작업 표시줄을 두 줄 이상으로 확장하신 후 하시는 게 작업 표시줄 구성을 수정하실 때 편하십니다.

[참고 영상]


즉시 실행이 필요한 아이콘들을 모아서 필요에 따라 원클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퀵런처 만큼 좋은 기능이 없지요 ^^

자 ! 오늘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퀵런처(Quick Launch) 기능을 배워보았습니다.

공유드린 내용이 일상의 PC 사용 때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