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사용하는 앱을 정말 작은 규모의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
어떻게 설정을 해줘야 할까요?
퀵런처(Quick Launch) 설정 방법
퀵런처 설정 방법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차분히 따라와 주세요.
①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한 번 더 눌러 해제해 주세요>
② 작업 표시줄 우클릭 > 도구 모음 > 새 도구 모음 클릭
③ 탐색기가 열리면 "폴더:" 란에 "shell:quick launch" 입력 후 폴더 선택 버튼 클릭 ※ 이후 enter를 두 번 눌러주시거나, 폴더 선택을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④ 작업 표시줄에 Quick Launch 생성 확인 후, 우클릭해서 퀵런치 설정
Quick Launch 가 설정되어 작업 표시줄에 표출되었는데
만약 우클릭 시 위의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작업 표시줄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꼭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가 체크가 되어 있을 때는 등록된 모든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해
세부 정보가 함께 표출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저는 제목, 텍스트 표시 모두 체크 해제를 하고 나서
아래와 같이 아이콘만 표출되도록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퀵런처를 사용해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었습니다. ※ 퀵런처 표출 창 이동은 세로로 된 두줄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신 채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를 하시면 됩니다. 작업 표시줄을 두 줄 이상으로 확장하신 후 하시는 게 작업 표시줄 구성을 수정하실 때 편하십니다.
[참고 영상]
즉시 실행이 필요한 아이콘들을 모아서 필요에 따라 원클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퀵런처 만큼 좋은 기능이 없지요 ^^
자 ! 오늘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퀵런처(Quick Launch) 기능을 배워보았습니다.
공유드린 내용이 일상의 PC 사용 때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이와 같은 경우 발을 동동 구르시면서 보통은 인터넷 관련 업체(KT, SKT..)에 전화를 하셔서
기사님들을 호출하실 겁니다. 맞아요 ! 그것도 방법입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모든 것을 다 아시고, 해결을 해주실 순 없겠지요.
"인터넷이 안된다?" 라고 했을 때
어디 부분이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통신사에 기사님을 예약하시든지?
아니면 PC를 새로 구매하시던지? 부품을 일부 구매해서 교체하시던지?
PC의 설정을 바꾸던지? 아니면 PC의 드라이버를 재설치한다던지?
"던지?" 가 정말 많지요?
인터넷이 안된다는 하나의 문제를 가지고도
원인은 다양한 부분에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인터넷이 되지 않을 때는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해 보심이 좋습니다.
첫 번째 원인 : 인터넷 라인 쪽 문제
인터넷 선을 다른 PC에 꽂아 봅니다.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세요.
- 만약 다른 PC에서 인터넷이 된다면 PC의 문제고,
다른 PC에서도 되지 않는다면 인터넷 라인의 문제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또 나누어지는데
인터넷 선 자체에 결함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PC와의 접촉 부분이 헤졌거나, 케이블이 중단에 단선이 생겼거나 하는 문제 등..)
그게 아니라면 인터넷 공유기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참고] ㆍ노란 색 부분 : 인터넷 메인 선 연결 부분 ㆍLAN1~4 : 4개의 PC에 인터넷 연결 가능한 포트 ㆍReset 버튼 : 펜으로 4~5초 눌러주시면 인터넷 공유기가 리셋됩니다.
보통은 전원을 껐다가 켠다든지,
연결된 인터넷 선을 뺏다가 다시 끼워본다던지
아니면 리셋 부분을 콕! 눌러서 리셋을 해본다던지
이와 같은 방법들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해결이 된다면 다행입니다만,
만약 그렇게 해도 되지 않는다면
통신사에 전화를 하셔서 지원을 받으세요.
그리고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인데,
만약 통신사 쪽에 전화를 했는데
정상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집의 위치까지 되어 있고,
통신 상태도 정상이라고 계속 얘길 한다면
아파트든 주택이든 인터넷 메인 라인이 들어오는
중앙 단자가 있습니다.
혹시 그쪽에 통신사에서 개통 작업을 하면서
어떤 작업을 한 이력이 없는지? 를 아파트에도, 통신사 쪽에도
계속 물으셔야 합니다. 대충 듣고 아니에요.. 아닙니다.. 하더라도
잘 되던 인터넷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무언가 일이 있는 겁니다.
몇 번 전화해서 물어보니, 결국 아파트 쪽에서 문제 상황에 대해 확인을 하고
죄송하다는 연락이 오더라고요.
이렇듯 정확히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방향만 파악을 하셔도
확인할 수 있는 목적지가 조금이라도 분명해 지기 때문에
이런 개념적인 부분을 익히시는 게 중요합니다.
자! 만약 인터넷 선을 다른 PC에 끼웠는데 인터넷이 잘 됩니다.
그렇다면 현재 PC에 문제가 발생한 겁니다.
두 번째 항목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두 번째 원인 : PC의 문제
PC에서 문제를 찾을 수 있는 부분은
① 인터넷 드라이버 설치 상태 체크
② 인터넷 드라이버 통신 속성 설정 상태 체크
③ PC OS 문제
④ PC 메인보드의 인터넷 통신을 담당하는 부분 손상
먼저 인터넷 드라이버 설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좌측 하단의 윈도우 로고 모양의 윈도우 키를 누르시거나,
좌측 하단의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네트워크 연결 보기'를 검색하셔서 열어보세요.
열어서 보셨는데 아래와 같이 PC 모양의 아이콘이 보인다면 인터넷 드라이버는 정상적으로 PC에 설치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 아이콘이 회색으로 되어 있다면 인터넷 연결 상태가 끊어져 있음을 말하는 것이고, 혹시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다면 우클릭 후 '사용'을 선택해 주셔서 인터넷이 다시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그래도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컴퓨터 아이콘을 우클릭하셔서 속성을 누르시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TCP/IPv4)가 체크가 활성화되어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 만약 체크가 안되어 있다면 역시! 체크해 주셔야 합니다.
체크가 잘 되어 있다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더블 클릭해주시면 속성 창이 열리게 됩니다. 이 부분에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로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주세요. 가정집의 인터넷은 보통 자동으로 IP를 할당받기 때문에 대부분은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사내망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계신 경우라면 또 다릅니다. 사내에 정해진 정책에 맞게 할당된 사내 IP, DNS 서버 IP가 설정되어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