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 다루어볼 내용은 퀵런처(Quick Launch) 입니다.

윈도우10을 설치할 때

작업 표시줄은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실행 중인 앱에 대해 그룹별로 표시가 됩니다.

보통 작업 표시줄의 설정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저는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업 표시줄에 표출할 수 있는 아이콘의 개수가 제약이 있기에

실행 앱별로 그룹 표출이 되게 하고, 작은 아이콘으로 표출되게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작업 표시줄에 표출되는 실행 앱 아이콘 표출에 대한 설정은 모두 했으나,

자주 사용하는 앱을 정말 작은 규모의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으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

어떻게 설정을 해줘야 할까요?

 

퀵런처(Quick Launch) 설정 방법  


퀵런처 설정 방법은 아래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차분히 따라와 주세요.

①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한 번 더 눌러 해제해 주세요>


② 작업 표시줄 우클릭 > 도구 모음 > 새 도구 모음 클릭


③ 탐색기가 열리면 "폴더:" 란에 "shell:quick launch" 입력 후 폴더 선택 버튼 클릭
※ 이후 enter를 두 번 눌러주시거나, 폴더 선택을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④ 작업 표시줄에 Quick Launch 생성 확인 후, 우클릭해서 퀵런치 설정

Quick Launch 가 설정되어 작업 표시줄에 표출되었는데

만약 우클릭 시 위의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작업 표시줄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꼭 작업 표시줄 잠금 해제 후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텍스트 표시, 제목 표시가 체크가 되어 있을 때는 등록된 모든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해

세부 정보가 함께 표출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저는 제목, 텍스트 표시 모두 체크 해제를 하고 나서

아래와 같이 아이콘만 표출되도록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퀵런처를 사용해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었습니다.
※ 퀵런처 표출 창 이동은 세로로 된 두줄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신 채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를 하시면 됩니다. 작업 표시줄을 두 줄 이상으로 확장하신 후 하시는 게 작업 표시줄 구성을 수정하실 때 편하십니다.

[참고 영상]


즉시 실행이 필요한 아이콘들을 모아서 필요에 따라 원클릭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퀵런처 만큼 좋은 기능이 없지요 ^^

자 ! 오늘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아이콘 모음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퀵런처(Quick Launch) 기능을 배워보았습니다.

공유드린 내용이 일상의 PC 사용 때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처음 티스토리를 시작할 때 꼭 올리고 싶었던 콘텐츠였습니다.

드디어 첫 글을 작성하게 되네요!

업무로도, 개인적으로도 일상에 늘 가까이 있는 PC에 대해

얼마나 많이 다룰 수 있으신가요?

보통 PC 사용 전에는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됩니다.

① "PC를 사고 싶은데 어떤걸 사야하지?"

② "아. 요즘 조립 PC가 유행하던데 나도 PC 조립을 한 번 해볼까?"


그리고 PC 사용 중에는 이런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됩니다.

③ "지금 쓰고 있는 PC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정도일까? 아니면 새로 사야할까?"

④ "알아보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내가 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자! 오늘은 PC 조립이란 게 생각보다 많이 어렵지 않구나 하는 것을 알려드리고

PC 조립을 한다고 하셨을 때 어떻게 개념적으로 접근을 하셔야 하는지를

쓰윽! 훑고 지나가 보겠습니다.

그리고 이후 과정에서는

PC 사용 목적에 대해 정의 및 가격 범위 고정
▶ PC 부품 구매
▶ PC 조립
▶ 기본 PC 환경세팅
▶ PC 사용 시작!


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읽으시면서 도움이 되셨거나 이해가 되시면 공감 버튼 꾸욱! 눌러주시고요

앞으로도 제 콘텐츠에 대해 힘을 실어주시고, 함께 해 주실 분들께서는 구독 버튼도 꾸욱! 눌러주세요.

① PC를 사고 싶은데 어떤 걸 사야 하지? >>> ② 나도 PC 조립을 한 번 해볼까?


PC를 고려하실 때는 아래의 정도로 나누어집니다.

각 구분에 대해 잡으셔야 하는 예산 범위에 대해 정해드리겠습니다.

※ 가격은 OEM 제품이 아닌 조립 PC를 구매한다는 전제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OEM PC(LG, 삼성 등) 은 조립PC 예상 가격보다 10만원~20만원은 더 비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무상 AS기간과 이상 상황 시 언제든 AS를 부를 수 있다는 안정적인 장점이 있지요.

생각보다 부를 일이 없기도 합니다. ^^;;)

▩ 일상 사용 목적(문서 작업, 인터넷 서핑, SNS, 너튜브 시청 등)
- 가격 범위 : 50만원 ~ 70만원(적정 가격은 : 60만~70만원 추천!)


▩ 캐드, 사진, 그림 편집, 적당히 게임이 잘 돌아가는, 중간 사양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사용 목적
- 가격 범위 : 70만원 ~ 100만원(적정 가격은 : 100만원 추천!)


▩ 영상 편집, 게임이 너무 게임이 잘 돌아가는,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사용 목적
- 가격 범위 : 100만원 ~ 150만원(적정 가격은 : 130만원~140만원 추천!)


이 정도 가격 범위를 가지고 조립 PC를 구매하실 때 예산을 고려하심이 좋습니다.

위의 세 가지 가격에 대해 어떻게 저렇게 갈리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PC 가격과 사양을 좌우하는 부품은

▦ PC 안에서의 데이터 처리, 연산 등의 작업을 담당하는 CPU


▦ 그래픽 처리에 대한 부분을 담당하는 그래픽 카드


▦ 모든 부품이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이자, 필요한 만큼의 전기가 흘러가도록 지원해 주는 메인보드


이 세 가지 부품입니다.

제가 자주 애용하는 다나와 사이트의 인기상품들을 참고로 해서 가격 범위를 찾아보면

메인보드 20만원에서 비싼 건 80만원 정도 가격선

그래픽카드30만원에서 비싼 건 180만원 정도 가격선(대단하네요..180만원..)

CPU30만원에서 60만원 정도입니다.

부품을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가격 범위는 많이 달라집니다.

제가 위에서 예산 범위를 70만원 - 100만원 - 150만원으로 정해드린 이유는

목적에 맞게 그 정도 욕심만 부리셔도 충분히 목적에 맞는 만족을 이루실 수 있기 때문에

상한선을 정해드렸습니다. ( 여유가 더 되셔서 더 비싼 걸 구해하시면 더 좋긴 하지요. )

이렇게 가격 범위를 정하고 나서,

조립을 하겠다! 마음먹게 되시면 부품을 알아보기 시작하십니다.

부품을 알아보실 때 꼭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 먼저 PC 조립에 필요한 구성 부품들을 설명해 드릴게요!

 


첫 번째는 메인보드 입니다.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메모리, CPU 등이 장착되고,
관련 케이블(하드디스크 케이블,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인터넷 케이블, 영상 출력 관련 케이블 등)이
연결되어 각 부분에 필요한 전기와 신호를 넘겨주는 장치입니다.

두 번째는 CPU 입니다.

CPU

 

PC에서 이뤄지는 주요 연산과, 데이터 처리 등의 작업을 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메인보드에서 이 부분에 장착이 되고 열의 누적을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에 쿨러를 장착해서 내부의 열을 밖으로 빼내도록 세팅합니다.


CPU 구매 시 유의하실 부분은 메인보드와의 호환성을 꼭 체크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구매 시 위에 보시는 것처럼 인텔(소켓1700) 을 보시고,

메인보드에서 동일한 인텔(소켓1700)을 만족하는지를 꼭 체크하시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세 번째는 그래픽 카드입니다.

그래픽카드


앞서 말씀드렸지만 일반용으로 사용하시는 PC의 경우에는

외장 그래픽카드를 굳이 장착하지 않고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법은 그래픽카드가 내장된 CPU를 구매하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그래픽카드가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나왔지만,

지금은 CPU 안에 그래픽카드를 내장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단, 아래에 보시는 것과 같이 모든 CPU가 그래픽카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외장 그래픽카드 장착 없이 사용하고자 하실 때는 내장 그래픽 탑재 여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추가해서 말씀드리자면,

CPU 구매 시 별도의 쿨러를 구매해서 장착하시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그런 계획이 없으시다면 CPU 구매 시 기본 쿨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도 함께 확인하셔야 합니다.

쿨러 없이 CPU를 사용하시면 얼마 가지 못해 발열을 견디지 못하고

PC가 멈추게 되고, 결국엔 꺼지게 될 것입니다.

고사양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위해 외장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부분을 고려하셔서 구매하셔야 합니다.

▦ 메인보드와의 호환성 체크


▦ 메인보드에 정상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 확인


▦ 고사양 그래픽 카드 구매 시 그만큼의 전력 소모가 있기 때문에 고출력 가능한 파워서플라이 구매 고려


▦ 최종 장착 후, PC 케이스의 뚜껑을 닫을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

위의 4가지 부분을 모두 고려하셔서 문제가 없는지 확실히 확인하신 후 그래픽 카드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비싼 돈으로 힘들게 샀는데 장착을 할 수 없다면 게다가 제품 스티커도 다 떼고

장착하면서 스크래치도 입혔는데 결국 장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정말 생각만 해도 슬픕니다. 꼭 고려를 해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픽 카드 구매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추후 콘텐츠를 작성해서 올리겠습니다.

 


네 번째는 메모리 입니다.

메모리



PC가 동작하는 데 있어서 메모리도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메모리는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더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PC가 켜져 있는 동안

자주 사용할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으면서 CPU로부터의 작업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일반용 PC의 경우는 4GB 메모리를 듀얼(2개)로 해서 8GB 장착을 추천드리고요,

중간 사양 이상이라면 8GB 메모리를 듀얼(2개)로 해서 16GB 장착을 추천드립니다.

가정용으로 쓰는 PC인데 메모리를 16기가 보다 더 크게 사용한다?! 그렇게 추천드리지 않고요

그만큼 엄청 빨라지는 효과를 얻진 못하실 겁니다.

(CPU,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가 가장 빠른 속도 개선을 이루어 냅니다.)

메모리 구매 시 유의해야 할 부분은 CPU, 메인보드와의 호환성 여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제품의 메모리 부분을 보시면 DDR4, DDR5 .. 라는 규격들이 있는데,

동일한 규격을 만족하는 조건이 되어야 장착하셨을 때 문제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꼭 유의해서 알맞은 제품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다섯 번째는 하드디스크입니다.

하드디스크



보통 하드디스크를 구매하실 때는

SSD(2.5인치) HDD 1개로 OS를 관리하고,

SATA(3.5인치) HDD 1개로 데이터 백업/관리에 사용합니다.

만약 옛날 PC라 SATA로만 PC가 조립되어 있다면 부팅부터 엄청 속도가 느립니다.

이런 경우 하드디스크만 SSD로 바꾸셔도 부팅 속도도 개선되고,


전반적인 PC 사용에 속도 개선이 조금 되실 겁니다.

어느 순간부턴가 SSD가 m.2 규격이라 해서 메모리칩과 같은 사이즈로 출시가 되고 있습니다.


경량이고, 사이즈가 작아 공간적인 제약을 줄여주는 효과는 있는 것 같으나,

사용해 본 결과 기존 SSD SATA 를 사용할 때보다는 수명적인 부분이 확실히 짧습니다.
(최대 3년 정도 사용 시 쓰기 수명이 0이 되어, 부팅이 느려지거나, PC 사용 중 느림 증상 발생 가능성 높음)

만약 m.2를 사용하신다면 메인보드에 호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에 표시된 부분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M.2 와 NVMe 는 엄연히 다릅니다. 유의하셔서 확인하십시오.

 

 


여섯 번째는 파워서플라이 입니다.

파워서플라이



자!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메모리, CPU, 기타 주변기기(USB, 핸드폰 충전기 등)가 메인보드에 장착될 때

메인보드는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적절히 나누어 각 장치로 전원을 공급해 줍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정격 출력과 기타 안전/효율 기능에 따라 가격대가 형성됩니다.

이때 조립하시는 분들께서는 각 부품(그래픽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기타 기기 등)의 최대 사용 전력을

예상하여 계산하셔서 PC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얼마큼의 전력이 필요한지를 계산해 보셔야 하고,

필요한 총 전력(W)을 감당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각 기기에 맞는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특정 장치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고,

그로 인해 이상 증상 및 PC가 멈추고 꺼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해 주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너무 큰 파워서플라이를 구매하시는 것도 지양하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파워서플라이가 해당 전력을 공급하는 만큼 집의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 ^^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는 PC케이스 입니다.

PC 케이스



PC 케이스는 첫 번째부터 여섯 번째까지 안내드린 부품들을 안에 보관해 주면서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 수분들도 막아주고

발생할 수 있는 소음도 적절히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미들타워 케이스를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사이즈가 여유 있는 만큼

부품(기능성 쿨러, 하드디스크)을 추가 장착하기에도 용이하고,

문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슬림형 보다는 좀 더 편하게 내부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많이 편하더라고요. 겪어 보시면 압니다. ^^

③ "지금 쓰고 있는 PC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정도일까? 아니면 새로 사야 할까?"
④ "부품을 알아보니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내가 할 수 있을까?"


위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은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위에 제가 설명을 드린 것처럼

사용 목적과, 예산을 정하고

현재 PC의 부품 목록을 정리해 놓고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품(CPU, 그래픽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파워서플라이 등)을 정하고,

이것이 현재 PC에 호환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했을 때

가능하다면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고,

- 물론, 스스로 부품 교체를 하셔서 PC 업그레이드하실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 앞으로 실제 업그레이드 사례와, 부품 교체 사례를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그게 안된다면 새로운 PC를 맞춰야 할 것입니다.


자 ! 오늘은 PC 조립이라는 것에 대해 큰 틀에서의 고려 과정과

각 부품 구매 시 꼭 고려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요약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적다 보니 내용이 줄여지지 않고, 계속 적을게 생각이 나서 작성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 ;;

그래도 이렇게 나눠드린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PC에 대한 부담감? 모른다는 걱정? 낯섦이 해결되셨으면 하는 목적으로

이런 콘텐츠를 제작하게 된 거니까요

이후에는 각 부품별로 해서 제품 비교와 사용 사례들을 정리해서

보다 세부적인 내용들이 공유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작해 보겠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언제든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은 PC를 사용하시면서 가끔 부딪히는 문제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바로 "인터넷이 안돼? 왜 그러지?" 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 발을 동동 구르시면서 보통은 인터넷 관련 업체(KT, SKT..)에 전화를 하셔서

기사님들을 호출하실 겁니다. 맞아요 ! 그것도 방법입니다.

그러나 그분들이 모든 것을 다 아시고, 해결을 해주실 순 없겠지요.

"인터넷이 안된다?" 라고 했을 때

어디 부분이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통신사에 기사님을 예약하시든지?

아니면 PC를 새로 구매하시던지? 부품을 일부 구매해서 교체하시던지?

PC의 설정을 바꾸던지? 아니면 PC의 드라이버를 재설치한다던지?

"던지?" 가 정말 많지요?

인터넷이 안된다는 하나의 문제를 가지고도

원인은 다양한 부분에 있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인터넷이 되지 않을 때는

아래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해 보심이 좋습니다.

 

 

첫 번째 원인 : 인터넷 라인 쪽 문제


인터넷 선을 다른 PC에 꽂아 봅니다.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세요.

- 만약 다른 PC에서 인터넷이 된다면 PC의 문제고,

다른 PC에서도 되지 않는다면 인터넷 라인의 문제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또 나누어지는데

인터넷 선 자체에 결함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PC와의 접촉 부분이 헤졌거나, 케이블이 중단에 단선이 생겼거나 하는 문제 등..)

그게 아니라면 인터넷 공유기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참고]
ㆍ노란 색 부분 : 인터넷 메인 선 연결 부분
ㆍLAN1~4 : 4개의 PC에 인터넷 연결 가능한 포트
ㆍReset 버튼 : 펜으로 4~5초 눌러주시면 인터넷 공유기가 리셋됩니다.


보통은 전원을 껐다가 켠다든지,

연결된 인터넷 선을 뺏다가 다시 끼워본다던지

아니면 리셋 부분을 콕! 눌러서 리셋을 해본다던지

이와 같은 방법들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해결이 된다면 다행입니다만,

만약 그렇게 해도 되지 않는다면

통신사에 전화를 하셔서 지원을 받으세요.

그리고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인데,

만약 통신사 쪽에 전화를 했는데

정상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집의 위치까지 되어 있고,

통신 상태도 정상이라고 계속 얘길 한다면

아파트든 주택이든 인터넷 메인 라인이 들어오는

중앙 단자가 있습니다.


혹시 그쪽에 통신사에서 개통 작업을 하면서

어떤 작업을 한 이력이 없는지? 를 아파트에도, 통신사 쪽에도

계속 물으셔야 합니다. 대충 듣고 아니에요.. 아닙니다.. 하더라도

잘 되던 인터넷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무언가 일이 있는 겁니다.

몇 번 전화해서 물어보니, 결국 아파트 쪽에서 문제 상황에 대해 확인을 하고

죄송하다는 연락이 오더라고요.

이렇듯 정확히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 방향만 파악을 하셔도

확인할 수 있는 목적지가 조금이라도 분명해 지기 때문에

이런 개념적인 부분을 익히시는 게 중요합니다.

자! 만약 인터넷 선을 다른 PC에 끼웠는데 인터넷이 잘 됩니다.

그렇다면 현재 PC에 문제가 발생한 겁니다.

두 번째 항목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두 번째 원인 : PC의 문제


PC에서 문제를 찾을 수 있는 부분은

① 인터넷 드라이버 설치 상태 체크

② 인터넷 드라이버 통신 속성 설정 상태 체크

③ PC OS 문제

④ PC 메인보드의 인터넷 통신을 담당하는 부분 손상


먼저 인터넷 드라이버 설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좌측 하단의 윈도우 로고 모양의 윈도우 키를 누르시거나,

좌측 하단의 윈도우 로고를 누르시고

'네트워크 연결 보기'를 검색하셔서 열어보세요.


열어서 보셨는데 아래와 같이 PC 모양의 아이콘이 보인다면
인터넷 드라이버는 정상적으로 PC에 설치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 아이콘이 회색으로 되어 있다면 인터넷 연결 상태가 끊어져 있음을 말하는 것이고,
혹시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다면 우클릭 후 '사용'을 선택해 주셔서
인터넷이 다시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그래도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컴퓨터 아이콘을 우클릭하셔서 속성을 누르시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TCP/IPv4)가 체크가 활성화되어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 만약 체크가 안되어 있다면 역시! 체크해 주셔야 합니다.

체크가 잘 되어 있다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더블 클릭해주시면
속성 창이 열리게 됩니다.
이 부분에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로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주세요.
가정집의 인터넷은 보통 자동으로 IP를 할당받기 때문에
대부분은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어 있을 겁니다.

사내망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계신 경우라면 또 다릅니다.
사내에 정해진 정책에 맞게
할당된 사내 IP, DNS 서버 IP가 설정되어 있을 겁니다.


위와 같이 설정들을 확인했음에도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면

PC OS 문제 또는 메인보드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 부분으로 넘어가기 전에 인터넷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https://www.3dpchip.com/3dp/net_down_kor.php

 

3DP Net 최신 버전 다운로드 - 공식 웹사이트

Language * Auto English Afrikaans Albanian Arabic Bengali (Bangladesh) Bulgarian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Croatian Czech Danish Dutch Estonian Filipino (Tagalog) French French (Belgium) German Greek Gujarati Hebrew‎ Hungarian Indone

www.3dpchip.com


저는 3DP Net이라는 사이트로부터 드라이버 설치 지원 프로그램을 받아서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조립 PC를 처음 구매하셔서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등의 최적의 작동을 위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싶을 때는

3DB Chip 사이트에 가셔서 설치 안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신 후

설치해서 필요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를 하시면 됩니다.

https://www.3dpchip.com/3dp/chip_down_kor.php

 

3DP Chip 최신 버전 다운로드 - 공식 웹사이트

프로그램명 : 3DP Chip (3DP 칩) 설명 : 저용량 파일로서 윈도우 설치 후 드라이버 설치 혹은 드라이버 업데이트, 시스템 사양 확인시 쉽게 사용 가능합니다. 특징 : CPU, 메인보드, 그래픽, 사운드, 기

www.3dpchip.com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3DP Net 에서 설치 안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합니다.

( ※ OS 버전을 체크하셔서 하시면 됩니다.)


현재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니 https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라 보안 경고 페이지가 먼저 표출되네요

크롬 브라우저에서 받는 상황을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다운로드 버튼을 눌렀을 때 보안 안내 페이지가 표출되고,

아래의 고급 버튼을 누르시면 다운로드 URL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안 경고창이 뜨지만 계속.. 진행하셔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

이렇게 어렵게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이제 설치하고, 실행해 봅니다.


실행해 보시면 표시된 부분과 같이

현재 PC에 꽂혀 있는 랜카드(인터넷 관련 작업을 처리하는) 정보가 표출되어 있고

해당 부분을 클릭하시면 랜카드에 맞는 인터넷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다운로드가 모두 되시면 설치를 진행하신 후 PC 재부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재부팅하시고 나서 위에서 보셨던 것처럼 이더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 연결.. 과 같이

PC 아이콘 모양이 잘 표출된다면 나머지 설정 확인 부분을 체크해 주시고,

인터넷 신호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자 !

이런 모든 앞의 과정들을 진행하셨는대도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면 정말 많이 답답하실 것 같습니다.

안타깝지만 뭔가 안될 것 같은 방향으로 점검 범위가 좁혀지지요..

그렇지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 부품을 바꿔서라도,

OS를 새로 깔아서라도 해결을 해야겠지요?

먼저 진행해 보실 방법은

운영체제(OS)를 재설치해보는 것입니다.

PC를 오래 쓰시다 보면

악성 코드 감염, 랜섬웨어 공격 등으로 인해

시스템 파일이 손상되어 OS의 기본적인 기능들이 점점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것도 그런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OS를 재설치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만약 OS를 재설치하셨는대도 인터넷이 여전히 되지 않는다면

이제는 메인보드의 인터넷 통신을 담당하는 랜카드 부분이 손상이 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경우는 시중에 판매하는 USB 유선 랜카드를 구매해서 장착해서 사용하시거나

 

ipTIME 노트북용 유선랜카드 U1G

 

ipTIME 노트북용 유선랜카드 U1G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아니면 메인보드를 교체하셔야 합니다.

자 오늘은 인터넷이 되지 않을 때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를 정확히 인지하고,

해결해 나가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렸습니다.

며칠 동안 적은 글 중에 가장 긴 글이었네요.

이렇듯 하나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정말 많습니다.

읽으시면서 이해가 되지 않으시는 부분은 또 자주 읽으셔서 이해를 해나가시면 되고요.

혹시 이해가 어렵거나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댓글로 문의주십시오.

답변드리겠습니다.

오늘의 글이 또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임의의 알파벳으로 연결하는 방법

파일 존재 유무를 체크하는 조건문을 생성해서, TRUE/FALSE에 따라

파일을 복사하거나, 메세지만을 표출하고 종료하도록 하는 배치 파일 예제를 설명드렸었고,

한글이 포함된 배치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하는 경우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인코딩 문제에 대해 말씀드리면서

UTF-8 이 아닌 ANSI 로 인코딩 설정을 바꿔주어 한글에 대한 처리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노하우를 전해드렸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세요.

[아래 링크 참조▼]

https://itchapter.tistory.com/5

 

[배치파일(.bat) 정보공유]네트워크 연결, 파일 존재 여부에 따른 처리( 조건문)가 포함된 배치파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배치 파일의 정의, 사용 목적, 배치 파일 생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https://itchapter.tistory.com/3?category=1071190 [배치파일

itchapter.tistory.com


자 ! 오늘은

작업 스케줄러를 배치 파일을 통해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직접 찾아가서 설정하면 되지 왜 배치 파일을 이용해서 설정을 하려고 하냐고 물어보실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답변을 드리자면 현재 제가 안내를 드리고 있는 배치 파일 활용#1 부터 ~~~ 강의들은

단일 PC, 개인 PC에서 일회성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만 고려해서 설명드리고 있지 않습니다.

관리하는 많은 PC에 주기적으로 원하는 작업들을 하도록 하게 하고 싶은데,

그걸 하나씩 하려고 하면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제가 관리하는 PC가 100대 정도가 되는데

거의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가 걸립니다. 다른 업무도 해야 하는데 정말 힘들고 지치지요.

그래서 배치 파일을 이용해서 하면 웬만한 설정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실용적인 부분들을 기능별로 나누어서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몇 가지 되지 않지만 배치 파일에 대한 제 콘텐츠를 개념으로 숙지하시고 나면

조금 더 편하게 PC를 제어할 수 있게 되실 거라고 확신합니다.

또 말이 길었네요 ;;^^

오늘 알려드릴 작업 스케줄러에 작업을 등록하게 하는 배치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SchTasks /Create /TN "[작업 스케줄러명]" /TR "[실행 파일명]" /ST 09:15 /RL HIGHEST /sc weekly /mo 1 /d MON,TUE,WED,THU,FRI /f

한 줄로 길게 보면 무엇인지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분할해서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SchTasks /Create :: 작업스케줄러의 작업을 생성한다.
/TN "[작업스케줄러명]" :: 작업명을 정의한다.
/TR "[실행파일명]" :: 실행파일을 지정한다.
/ST 09:15 :: 시작시간을 지정한다.
/RL HIGHEST :: 관리자 권한(최고 권한)으로 실행한다.
/sc weekly :: 매주
/mo 1 :: 매 1주마다
/d MON, TUE, WED, THU, FRI :: (월, 화, 수, 목, 금요일) 에만
/f :: 중복된 작업이 있더라도 강제로 재생성 한다. (작업을 덮어쓰기 한다. / 강제 실행 명령)

※ 대괄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게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포맷 오탈자 없도록 철저하게 입력, 쓸데없는 공백 생성하지 않기)

어느 정도 이해가 되시지요? 완벽하게 이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계속 반복해서 보시다 보면 조금씩 이해가 되실 겁니다.

작업 스케줄러는 위의 예시에 있는 것으로 모두 담기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른 많은 옵션과 설정 명령들이 있습니다.

아래에 링크를 남겨 놓겠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server/administration/windows-commands/schtasks-create

 

매개 변수 만들기

작업을 자동화하는 schtasks create 명령에 대한 참조 문서입니다.

learn.microsoft.com


위 사이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제공하는 정보 사이트입니다.

작업 스케줄러를 배치 파일을 만들고 싶으실 때 이곳에 정보가 다 있으니 원하는 설정 내용을 찾으시고,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을 완성하셔서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자! 오늘은 작업 스케줄러를


이렇게 직접 검색해서 열고 들어가서, 또 설정을 일일이 클릭하면서 하고, 작업명을 입력하고..

하는 과정 없이 배치파일을 통해 한 번에 딱!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용해 보시면 정말 편하실 겁니다.

제가 나누어 드리는 내용들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배치 파일을 실행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싶은데,

마치 오류가 발생하거나, 이상 행위를 하는 것처럼 보안 안내창이 표출이 되는 경우에 대해

안내창이 표출되지 않도록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해 주는 스크립트를 배치 파일에 포함시키는 것과

배치 파일을 실행할 때 검정창이 뜨면서 주루룩~~~~ 화면이 보여지는 부분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조용히 처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서

방법을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다음 강의 때 뵙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