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하나씩 가지고 있는 

 

공동인증서( (구)공인인증서 ) 그것에 대해 

 

 

삭제 방법과 이전(복사)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공동인증서( (구)공인인증서 ) 삭제 방법

 

먼저! 공동인증서는 전자 금융, 부동산 등

 

 

본인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인증서이기 때문에

 

본인만 가지고 있어야 하고,

 

본인의 소유가 아닌 다른 기기, 장치에 등록해선 안되고요. 

 

설사 임시로 했다 하더라도 꼭 삭제를 해주셔야 합니다. 

 

어딘가에 나의 공동인증서 파일이 있다면 

 

그것만큼 위험한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자! 오늘 배우시고, 

 

혹시 어딘가에 있을지 모를 나의 공동인증서의 행방을 찾아보시고,

 

그리고 다음에 만일 비슷한 상황이 있다면 잘 알아놓으셨다가

 

꼭 삭제를 진행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자 ! 공동인증서는 보통 세 가지 경로에 저장이 됩니다. 

 

이 세 가지 경로만 잘 알고 계시면 됩니다. 

 

1. 경로 : C드라이브 의 Program Files (x86) 의 NPKI 폴더

 

 

2. 경로 : C드라이브 의 Program Files 의 NPKI 폴더

 

 

3. 경로 : C드라이브 의 사용자(User)폴더 의 [계정명] 폴더 의 AppData 밑에 

 

Local, LocalLow, Roaming 각 폴더 아래의 NPKI 폴더 

 

이렇게 세 가지 경로에 보통 NPKI 폴더가 생성되고, 

 

그 폴더 안에 인증서 파일이 저장됩니다. 

 

 

공동인증서를 완전 삭제하고자 하신다면, 

 

각 경로에 가셔서 NPKI 폴더를 완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완전 삭제는 폴더 클릭 후,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Del 키를 누르시면 

 

"완전 삭제하시겠습니까?"을 물어보게 되고,

 

예! 를 누르시면 해당 폴더는 완전 삭제됩니다.

 

AppData 폴더가 보이지 않으신다고요? 

 

해당 폴더는 기본적으로 숨겨져 있기 때문에

 

숨김 파일을 보여주도록 폴더 옵션을 변경해 주셔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하도록 합니다. 

 

내 PC 탐색기 여시고,

 

보기 탭 선택 후, 우측에 있는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보기 탭 클릭 후 

 

옵션 설정 목록을 쭈욱 내려보시면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라는 

 

내용이 보이실 겁니다. 

 

이 라디오 박스를 체크해 주시고, 

 

아래의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AppData 폴더가

 

정상적으로 보이실 거예요. 

 

 

 

2. 공동인증서( (구)공인인증서 ) 복사(이전) 방법

 

공동인증서 파일을 옮기는 방법은

 

위의 삭제 방법에서 알게 된 세 가지 경로에 있는

 

NPKI 폴더를 원하시는 기기(스마트폰, USB 등)에 

 

복사를 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AppData 쪽에 있는 NPKI 폴더를 

 

복사하시면 잘 되실 겁니다. 

 

기본적으로 AppData 란 폴더가 숨겨져 있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그쪽에 인증서 파일을 옮겨 놓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와 같이 직접 공동인증서 파일을 옮기시는 방법이 있고요.

 

스마트폰의 경우는 옮기셨을 때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이나, 스마트폰 작동 관련해서

 

보안 정책이 많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스마트폰으로 공동 인증서를 옮기시는 경우든

 

스마트폰에서 공동인증서를 다른 기기로 옮기시든 

 

두 경우 모두 

 

해당 인증서 발행 기관의 웹 사이트 공인인증관리 페이지로 가셔서 

 

스마트폰 -> PC

 

PC -> 스마트폰 

 

과 같은 기능 메뉴를 통해 복사(이전) 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하나은행 공인인증센터 인증서 복사 관련 안내 이미지

 

자 ! 오늘은 공동 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의 

 

삭제 및 복사(이전)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그런 얘기가 있습니다. 

 

"내 정보는 내가 지킨다"

 

늘 보안에 유의하시고, 

 

정보 유출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서 

 

개인정보 유출로 안타까운 피해가 발생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쉐어스퀘어입니다.

인터넷 익스프로러 서비스 종료가 된지도,

어느덧 6개월이 다 되어 갑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lifecycle/announcements/internet-explorer-11-end-of-support

 

특정 운영 체제에 대한 Internet Explorer 11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지원 종료

Internet Explorer 11 지원 종료 발표.

learn.microsoft.com


그 당시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예 사용이 불가할 것이란 불안감이 많았는데,

이제 보니

보안 관련 메세지는 표출되고 있지만,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잘 돌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MS사에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아

언제든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다는 부분이 있기에

IE는 이제 사용하시면 안 됩니다 : )

자! 그렇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IE) 쓰지 않는다면

엣지나, 크롬, 웨일 등의 브라우저로 넘어가셔야 하는데

보통은 MS에서도 유도를 하기 때문에

엣지(Edge) 브라우저를 보통 사용하시게 됩니다.

오늘은 엣지 브라우저 사용 시

기존 IE에서의 즐겨찾기 및 기타 브라우저 사용 정보들을

이전할 수 있는 방법과

특정 사이트의 경우 IE로 이용해야 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즐겨찾기 및 기타 브라우저 사용 정보
엣지 브라우저로 이전(복사) 방법


방법은 간단합니다.

엣지 브라우저를 여시고,

우측 상단의 쩜 3개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설정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좌측에 있는 프로필 메뉴를 클릭해 주시고,


우측에 있는 브라우저 데이터 가져오기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특정 브라우저에서 관련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가져올 항목 선택"이라는 버튼이 하나 있죠 !


이걸 누르시면



크롬(Chrome) 및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브라우저에서

아래에 있는 체크된 항목들에 대해서

엣지(Edge) 브라우저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체크가 끝나면

아래의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

그러면 관련된 모든 정보들이

깜빡! 하면서 복사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사이트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호출하고 싶을 때
설정 방법 [Interent Explorer(IE) 호환 모드 사용]


주로는 엣지 브라우저를 사용하겠지만,

특정 사이트는 아직 엣지 환경에 최적화되지 않아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사용을 해야 하는 경우가

분명 있을 겁니다.

특히 회사의 경우

그룹웨어나, 특정 웹 기반 서비스들이

동전 뒤집듯이 바꿀 수 있는 게 아니기에

IE에서 사용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IE 호환 모드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IE 호환 모드 설정 방법 및

IE 호환 모드 사용 시

보안 메세지가 아래와 같이

브라우저 상에 표출되는 문제에 대해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작성한 글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링크를 공유드리오니,

https://itchapter.tistory.com/35

 

엣지(Edge)브라우저 IE(Internet Explorer) 호환 모드 사용 관련 최신(최근)적용 사례 20221207 기준 [PCㆍ인

[ 엣지(Edge) 브라우저 IE(Internet Explorer) 호환 모드 사용 관련 최신 적용 사례 공유 ] < 도 입 : 엣지(Edge) 브라우저 IE(Intetnet Explorer) 호환 모드 설명>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입니다. 오늘은 엣지 브라

itchapter.tistory.com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IE 호환 모드를 사용하실 때,

그래도 조금은 덜 불편하게

눈에 거슬리는 부분 없이

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피씨(PC)를 켜고,

로그인 화면이 표출되어

늘 입력하던 암호를 입력했는데

"암호가 맞지 않습니다" 라는 메세지가

표출됩니다.

여러 번을 시도하지만, 오히려

암호 확인 중이라는 뺑글뺑글 아이콘이

계속 표출되고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해결 방법 물론 있습니다.

암호 재설정을 해주시면 되지요 !!

오늘 그 방법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순서대로 따라와 주시면 됩니다.

① 현재 사용자 계정 확인 |
윈도우 부팅용 CD/USB 생성 |
암호 재설정 프로그램 USB 복사

 

로그인 화면에서는 사용자명이 보이게 됩니다.

해당 유저명을 기억해 두세요.

암호 재설정 프로그램 사용 시

administrator 포함하여, 사용자 계정 목록이 표출되는데

거기서 해당 유저명을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윈도우 부팅용 CD 또는 USB를 만듭니다.

요즘 트렌드에 맞게 부팅 USB를 만드는 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Win7 또는 Win10 부팅용 USB 생성 프로그램을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 후

실행해서 부팅용 USB를 선택 후 생성하시면 됩니다.

관련 URL 공유드립니다.

| 윈도우 7 부팅용 USB 생성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56485

 

Download Windows USB/DVD Download Tool - 한국어 from Official Microsoft Download Center

중요! 아래에서 언어를 선택하면 전체 페이지 내용이 해당 언어로 신속하게 변경됩니다. English - United Kingdom네덜란드어네팔어독일어스페인어이탈리아어일본어한국어 다운로드 이 다운로드에

www.microsoft.com


위의 KR.exe 로 끝나는 것을 설치하시고,

부팅용 USB를 만드시면 됩니다.

| 윈도우 10 부팅용 USB 생성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용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 해당 파일은 선택한 위치에 로컬로 저장됩니다.컴퓨터에 타사 DVD 굽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치 DVD를 만들려는 경우,

www.microsoft.com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누르시고,

설치하신 후, USB를 끼우시고

WIN 10 용 부팅용 USB를 만드시면 됩니다.

시간은 보통 10분 ~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PC 상태에 따라 상이함)

윈도우7 과 윈도우10 부팅용 USB 생성 사이트를

각각 안내드린 이유는

메인보드에 따라

윈도우 10 부팅용 USB로 부팅을 시도하는 경우

윈도우 설치창은 뜨지만

마우스, 키보드 제어가 되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그런 경우 윈도우 7 부팅용 USB로 부팅을 시도하시면

정상적으로 마우스, 키보드 제어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ntpwed04.zip 이라는 압축파일

부팅용 USB에 넣어서 압축을 풀어놓으시면

준비 작업은 끝납니다.

※ 파일 다운로드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세요. 

https://drive.google.com/file/d/1XZIYRjqC07j2yD8ZOMYOoXQyG-sE-E2I/view?usp=share_link 

 

ntpwed04.zip

 

drive.google.com

 

② 윈도우7, 10 CD/USB 부팅 후 암호 재설정 프로그램
커멘드(cmd) 로 실행 후 재설정 작업 진행

윈도우 10 USB 부팅을 시도한 것을 전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렇게 초기화면이 표출될 때

시프트 키(shift) + F10 을 함께 눌러주면

커멘드(cmd) 창이 열립니다.

그러면 우선 암호 재설정 프로그램(ntpwed04) 이 있는

디스크가 무엇인지 드라이브명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먼저 diskpart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DISKPART> 이렇게 커멘드 입력 부분이 바뀝니다.

여기서 list volume 입력 후 엔터 !

그러면 현재 PC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 목록이 표출됩니다.

이들 중 상태 쪽에 있는 용량을 보시고,

USB를 유추해서 그에 맞는 드라이브 알파벳을 찾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조하시고요.


만약 USB 드라이브가 D 라고 가정하고

설명 이어가겠습니다.

먼저 exit 명령을 입력해서 DISKPART> 를 나갑니다.

그리고 D: 를 입력해서

D드라이브로 접근합니다.

그리고 dir 명령으로 ntpwed04 가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만약 보이지 않으시면 다른 드라이브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DISKPART에서 list volume 시 표출되는

알파벳 목록을 확인해 두셨다가 하나씩 E: F: 이렇게 바꿔서

dir 명령을 통해 ntpwed04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 ntpwed04 를 찾으셨으면

cd ntpwed04 명령어로 ntpwed04 폴더를 오픈합니다.

그리고 현재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 비트수(32비트 / 64비트)에 따라

ntpwedit.exe 또는 ntpwedit64.exe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실행 명령은 간단합니다. 저 실행 파일명을 그대로 쳐주시면 됩니다.

저는 64비트니까 ntpwedit64.exe 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실행하시면 이런 창이 하나 표출됩니다.

여기서 점 3개를 눌러주시고,

아래의 경로를 찾아가셔서

SAM이란 파일을 찾아 더블클릭 또는 열기 해주시면 됩니다.

[경로] C:\Windows\System32\config

 

그러면 아래의 User List 부분에

현재 사용 중인 계정 목록이 표출됩니다.

여기서 아까 맨 위에서 말씀드렸듯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계정을 찾아 선택해 주십시오.

그리고 아래의 Change password 를 눌러

암호를 변경하신 후

Save Changed 를 눌러 변경된 암호를 저장합니다.

그리고 Exit 를 누르셔서 프로그램을 끄시면 됩니다.

[주의]

Unlock의 경우 실제 사용해 보았으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 같아서,,

Change Password 기능을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암호 변경을 하신 후

커멘드 창도 닫으시고,

윈도우 10 설치화면도 닫으셔서

재부팅을 시켜줍니다.

③ 재부팅 후 재설정한 암호로 윈도우 로그인 진행

로그인 창이 표출되고,

변경하신 암호를 입력해 주시면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시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 ! 오늘은 윈도우 암호를 갑자기 잊어버렸거나?

전임자가 암호를 안 알려주고 갔다거나?

맞는 암호를 입력했는데도,, 암호 실패가 반복됐을 때

긴급 대응으로 설정된 암호를 재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과정들을 순서대로 진행하시다 보면

암호 분실 시 긴급 암호 재설정 방법뿐 아니라

윈도우를 재설치 하는 방법도 알게 되고,

또 윈도우 설치 창에서 커멘드 창(cmd) 오픈을 통한

작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실 겁니다.

한 번이라도 경험이 생기시면 그 기억은

또 다른 계기로 인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든 잘 숙지해 두시고, 이해해 두시면

(+)(+)(+)가 되실 겁니다 :)

오늘 공유드린 내용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1990년대에 PC를 사용하셨던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PC 부팅이 왜 이리 느리지? 하면서

답답해하셨던 기억이 나시나요?

막 ~ 검정 창에 이런저런 메시지가 표출되면서


세월을 외치며, 5분 ~ 10분 기다렸던 그랬던 적이 있었지요.

그리고 2007년부터였을 겁니다.

SSD 하드디스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부팅 시간이 획기적으로 10초 ~ 20초 정도로 단축되게 되었지요.

SSD의 성능은 점검 좋아졌고,

2.5인치로 시작했던 사이즈가

이제는

2mm 정도의 얇은 두께,

80mm 정도의 짧은 폭으로

출시가 되고 있는 수준이지요!

오늘은 앞서 말씀드린 SSD 하드디스크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구분은

- 2.5인치 SATA SSD - M.2 SATA3 SSD- M.2 NVME SSD

이렇게 3가지 규격의 SSD를 가지고

장, 단점 및 사용 시 유의사항에 대해

나눠보겠습니다.

1) 2.5 인치 SATA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13190519&keyword=2.5%EC%9D%B8%EC%B9%98+SSD&cate=112760

 

삼성전자 870 EVO (500G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6.4cm(2.5형) / SATA3 (6Gb/s) / TLC(기타) / 3D낸드 / DDR4 512MB / 컨트롤러: 삼성 MKX / [성능] / 순차읽기: 560MB/s / 순차쓰기: 530MB/s / 읽기IOPS: 98K / 쓰

prod.danawa.com


자! 삼성전자의 2.5인치 SSD 500GB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장, 단점을 먼저 나눠보겠습니다.

(장점)

< M.2 SSD에 비해 사용 가능한 수명이 길다 >

실제 사용해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2.5인치 SATA SSD 가 M.2 SSD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오래 사용 가능합니다.

M.2 SSD는 보통 3년 정도 사용하면
PC가 느려지거나, 부팅이 점점 느려지는 증상이 발생하면서
수명이 다됐다는 신호를 보내게 되고, 나중에는 부팅도 안되게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하드디스크 검사기로 검사를 해보면 SSD LIFE 수치가 정해져 있는지
마지막에 가서는 결국 0 값이 되면서 PC가 뻗어버립니다.

100여대의 PC를 관리해본 결과,
3년차부터 많이 사용하는 PC 위주로 고장건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SATA SSD 로 동일하게 운영했을 때는 SSD 하드디스크 교체 건이
비율적으로 비교한다면 1/3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적당히 PC를 사용하시는 편이시고,
주기적으로 PC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시는 분이시라면
성능이 상대적으로 좋은 M.2 SSD 을 쓰시면 되겠지만
특별히 신경쓰는 것 없이 오래오래 쓰고 싶다? 생각하신다면
2.5인치 SATA SSD 를 사용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제 개인PC도 사용한지 5년이 다 되어 가지만
아직까지 잘 쓰고 있답니다 :)


<PC에 장착 또는 연결할 때 M.2 SSD에 비해 제약이 적다>

M.2 SSD 의 경우는 메인보드에 장착가능한 슬롯이 있어야 장착이 가능하지만
2.5인치 SATA SSD의 경우는 SATA 케이블을 연결하고 가이드를 연결해서든,
자체로 장착을 하든 피스를 박든, 테이프로 고정하든 빈 공간만 있으면 장착이 가능합니다.

사실 요즘들어서는 M.2 SSD(SATA3, NVME), 2.5인치 SSD 모두에 대해
USB로 PC에 연결가능한 외장 케이스가 잘 나오고 있기 때문에
위의 장점은 엄청 장점이다 할 순 없지만 그래도 장착의 의미에서는 장점입니다.


(단점)

<M.2 SSD보다 상대적으로 처리 속도가 느리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점점 더 성능이 집약되어 생산되고 있는 M.2 SSD에 비해
성능이 상대적으로 조금 부족하다는 것이겠네요 :)

 

2) SATA3 M.2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6078371&keyword=M.2+SSD&cate=112760

 

Western Digital WD Blue 3D M.2 SATA (2T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M.2 (2280) / SATA3 (6Gb/s) / 3D낸드 / 컨트롤러: 마벨 / [성능] / 순차읽기: 560MB/s / 순차쓰기: 530MB/s / 읽기IOPS: 최대 95K / 쓰기IOPS: 최대 84K / [지

prod.danawa.com


위 제품은 SATA3 방식으로 돌아가는

Western Digital WD 사의 M.2 SSD입니다.

위의 삼성 2.5인치 SSD와 비교했을 때,

속도면에서 특출 나게 더 빠르거나 하진 않습니다.

다만 메모리 칩과 같은 소형으로 나왔기 때문에

PC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어서

gram 과 같은 초경량 노트북이나, 테블릿 등에 사용이 되고,

데스크톱에도 물론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까 위에 2.5인치 SSD 하드를 설명드리면서 말씀드렸듯이

수명에 있어서는 2.5인치 SSD가 뛰어납니다.

그리고 아래의 m.2 SSD 그림을 봐주세요.


표시된 부분을 보시면 짧은 면이 양쪽에 1개씩, 가운데에 긴 면이 하나 있죠?

이렇게 생긴 m.2 SSD를 일컬어

M.2(2280) 규격이라고 합니다.


이 규격은 아주 중요한 정보입니다.

왜냐하면 PC를 조립하시면서 부품을 조합하실 때

메인보드 구매 시 어떤 m.2 SSD 규격을 장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시고,

그에 맞는 m.2 SSD를 구매하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조립PC를 알아보실 때 메인보드가 하드디스크보다는 더 우선됩니다.

원하는 CPU나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모두 호환 가능한 메인보드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메인보드 제품의 상세 정보를 찾아보시면

아래와 같이 M.2 연결 및 M.2 폼팩터라는 정보가 표출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참고하셔서 장착 가능한 m.2 SSD가 무엇이 있는지 인지하시고,

장착 가능 수량에 대해 규격별로 확인하셔서

그에 맞게 구매하시고, 장착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

 

3) NVME SSD


https://prod.danawa.com/info/?pcode=13562693&keyword=nvme+ssd&cate=112760

 

삼성전자 980 M.2 NVMe (500GB) : 다나와 가격비교

컴퓨터/노트북/조립PC>PC주요부품>SSD, 요약정보 : 내장형SSD / M.2 (2280) / PCIe3.0x4 (32GT/s) / NVMe 1.4 / TLC(기타) / 컨트롤러: 삼성 Pablo / [성능] / 순차읽기: 3,100MB/s / 순차쓰기: 2,600MB/s / 읽기IOPS: 400K / 쓰기I

prod.danawa.com



정말 빠르다! 이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가장 많이 구매하시는 SSD 인 듯합니다.

장점은 정말 빠르다!

단점은? .. 잘 모르겠다 ^^ 이런 느낌이네요

다만 혹시 현재 사용 중인 m.2 SSD가 있었는데,

NVME SSD로 사용하고 싶으신 상황이라면

현재 PC의 메인보드가 NVME SSD를 장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꼭 확인하시고, 구매/교체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저는 보통 다나와 사이트에서 부품들에 대해 리서치를 하는데,

https://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EB%A9%94%EC%9D%B8%EB%B3%B4%EB%93%9C+nvme

 

메인보드 nvme 통합검색 : 다나와 통합검색

'메인보드 nvme'의 다나와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danawa.com

 

아래와 같이 메인보드 규격 중에 NVMe라는 게 크게 표시되어 있으니

이 부분을 꼭 확인하시고, 구매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SATA3 M.2 SSD나 2.5인치 SSD의 경우에는

각각 4년 이상 사용을 해봤기 때문에 실 사용에 대한

비교 판단이 가능해서,

수명이나, 잔고장에 대해서는

2.5인치 SSD가 뛰어납니다 ! 라고 말씀을 드렸지만

NVME같은 경우는 이제 1년이 다 되어 가기 때문에

실사용을 4년 이상 해보고,

느낀 점들이 정리가 되면 2~3년 뒤에

내용 최신화를 해서 콘텐츠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

자! 오늘은 SSD 하드디스크에 대해 나누어 보았습니다.

여러 규격이 있고,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PC를 업그레이드하실 때도,

신규 구매하실 때도

알아두시면 좋을 내용이라 생각해서 나누게 되었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