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ent posts

728x90
반응형

PC 고장 중 윈도우(Windows) 깨짐(오동작, 고장) 시 

해결 방법 순서 ①

"윈도우 복구용 USB 생성" 

 

< 도입. 윈도우(Windows) 복구 기능 사용 목적 >

 

안녕하세요 ! 

 

쉐어스퀘어 입니다.

 

PC를 사용하시다 보면

 

부팅이 안되거나, 

 

갑자기 꺼지는 증상이 발생하거나, 

 

특정 프로그램 실행 시 충돌 오류 표출 후 화면이 초기화되거나, 

 

윈도우(Windows)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럴 때 보통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조금 아시는 분들은 윈도우를 재설치하시게 되고, 

 

나머지 분들은 수리 업체(기사)에게 맡기실 겁니다. 

 

업체(기사)에 의뢰한다는 것은 비용을 생각하고 진행하시는 겁니다. 

 

비용을 꼭 들일 필요가 있을까요? 

 

음.. 다시 여쭤보겠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해서 바로 비용을 들여 업체(기사)에게 의뢰를 할 필요가 있을까요? 

 

절대, 절대, 또 절대! 없습니다.

 

관련해서 문제의 원인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면 

 

윈도우(Windows)의 문제라고 판단을 해서 윈도우를 재설치할 수 있다면 

 

그렇게 문제를 해결하시고, 윈도우가 새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PC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부팅이 안되거나,

갑자기 꺼지는 증상이 발생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면 충돌이 나면서 화면이 초기화 되거나, 

아예 윈도우(Windows)의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위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윈도우(Windows)의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파일이 깨졌거나, 레지스트리, 환경 설정 값 등의 중요 설정 값이 변경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이지요. 

 

시스템 파일이 깨지는 경우는 악성코드 감염 또는 악성 공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고, 

 

레지스트리, 환경 설정 값이 바뀌는 경우는 스펙의 변화가 아닌 윈도우 설정 변경을 통해 

 

PC 환경 개선을 하고 싶어서 

 

보통 무분별하게 여러 콘텐츠를 통해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하는 내용들을 접하게 되고, 

 

그대로 설정 값을 변경하는 작업들을 진행하시다가 나중에는 무엇을 변경했는지 알지도 못하고, 

 

PC는 안되고.. 하는 상황으로 보통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레지스트리 값에 대한 변경은 정말 조심히 하셔야 합니다. 

 

변경 전에는 꼭 백업을 해주셔서, 언제든 복구가 가능하도록 준비를 하시는 게 안전한 방법입니다. 

 

▼ 레지스트리 변경 시 꼭 참조 하세요 ▼

 

https://itchapter.tistory.com/16

 

[PC설정변경]레지스트리 변경 시 유의사항(regedit) 안내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레지스트리 편집 시 유의할 점입니다. 보통 구글링이나, 서치를 통해 많은 자료들을 보면 문제 상황 발생 시 레지스트리 변경을 시도하도록

itchapter.tistory.com

 

< 본론. 윈도우(Windows) 설치 USB 생성 방법 >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윈도우 버전(7, 10, 11)을 

 

PC 사양과, 라이선스 보유 여부에 따라 판단하셔서 선택하시고, 

 

설치용 USB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버전별 권장 사양 및 설치 USB 생성 관련 사이트(URL)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윈도우 7 (Windows 7) - 권장 사양>

아래의 권장 사양을 참조하시면 되고요

 

최소 사양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웬만하면 설치가 충분히 가능하실 겁니다. 

 


★★★★★ 권장 사양 ★★★★★

- 1GHz 이상 32비트(x86) 또는 64비트(x64) 프로세서(CPU)

- 1GB RAM(32비트) 또는 2GB RAM(64비트)

- 16GB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32비트) 또는 20GB(64비트)

- WDDM 1.0 이상 드라이버와 DirectX 9 그래픽 디바이스

<이하는 아래 URL 참조>

https://support.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7-%EC%8B%9C%EC%8A%A4%ED%85%9C-%EC%9A%94%EA%B5%AC-%EC%82%AC%ED%95%AD-df0900f2-3513-a851-13e7-0d50bc24e15f

 

Windows 7 시스템 요구 사항 - Microsoft 지원

Windows 7에 대한 지원은 2020년 1월 14일에 종료되었습니다. Microsoft에서 보안 업데이트를 계속 받으려면 Windows 11 PC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정보 PC에서 Windows 7 를 실행 하려는 경우 다음

support.microsoft.com

< 윈도우 7 (Windows 7) - 설치(부팅용) USB 생성 관련 > 

[설치 방법]

① 부팅용 USB 생성 툴 다운로드 후 설치 

② USB 연결 > 툴 실행 

아래의 윈도우 7 부팅용 이미지 선택 > 부팅 USB 생성 

※ 댓글로 문의하시면 추가적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부팅용 USB 생성 툴 다운로드

https://drive.google.com/file/d/1l0TRnr6bOLxozm7jpFBfbxVTujQIeSrN/view?usp=sharing 

 

Windows7-USB-DVD-Download-Tool-Installer-ko-KR.exe

 

drive.google.com

※ 윈도우 7 부팅용 이미지 관련해서는

댓글로 제게 문의해 주시면 도움드리겠습니다. 

 

< 윈도우 10(Windows 10) - 권장 사양 > 

아래의 권장 사양을 참조하시면 되고요.

특이사항으로는

Windows SP(서비스팩) 1 또는 Windows 8.1 버전이 적용된 PC에서만 

Windows 10 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실 듯합니다. 

신규 설치라면 아래의 사양 정도가 그렇게 큰 사양을 요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웬만한 PC에는 충분히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권장 사양 ★★★★★

- 최신 버전 즉, Windows 7 SP(서비스팩) 1 또는 Windows 8.1 Update 적용 PC

- 1Ghz 이상 프로세서 또는 Soc

- 1GB RAM(32비트) 또는 2GB RAM(64비트) 

- 16GB 사용 가능한 하드 디스크 공간(32비트) 또는 32GB(64비트)

- WDDM 1.0 이상 드라이버와 DirectX 9 그래픽 디바이스 

- 디스플레이 최소 800 * 600 해상도 지원

<이하는 아래 URL 참조> 

 

https://www.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10-specifications

 

Windows 10 시스템 요구 사항 및 사양 확인 | Microsoft

시스템 요구 사항, 사양 및 Windows 10 OS에 대한 중요한 세부 사항을 알아보세요. 또한 설명, 업그레이드 버전 및 서비스 가능 제공 언어를 알아보세요.

www.microsoft.com

 

< 윈도우 10(Windows 10) - 설치(부팅용) USB 생성 관련 >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Windows 10 다운로드

Windows 10용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 해당 파일은 선택한 위치에 로컬로 저장됩니다.컴퓨터에 타사 DVD 굽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치 DVD를 만들려는 경우,

www.microsoft.com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누르셔서, 

윈도우10 부팅용 USB 설치 툴을 다운로드 합니다. 

그리고 USB를 연결한 상태에서 실행하신 후 

다음..다음..으로 진행하시면서 이미지를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간단합니다!

혹시 막히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당연히 댓글로 문의하세요. 

언제든 도와드리겠습니다! 

 

< 윈도우 11 (Windows 11) - 권장 사양 > 

 

아래의 권장 사양을 참조하시면 되괴요

당연 최신 운영체제인 만큼 요구되는 최소 사양도 높습니다. 

또한 UEFI를 활용한 보안 부팅이 가능하도록 설명되어 있어야 

윈도우 10 (Windows 10)이 설치 가능하다는 것이 특이사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UEFI 활용 보안 부팅 관련해서는 추가 콘텐츠를 제작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 직접 윈도우11을 설치한 후 최적화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려 합니다. :) 

 


★★★★★ 권장 사양 ★★★★★

- 호환되는 64bit 프로세서 또는 칩(Soc : System on a Chip)의 시스템에서 둘 이상의 코어가 있는 1Ghz 이상

- 4GB RAM 이상

- 64GB 이상의 OS 설치를 위한 저장소 필요 

- WDDM 2.0 드라이버와 호환되며, DirectX 12 이상과 호환

- UEFI, 보안 부팅이 가능한 환경

- TPM(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 모듈) 버전 2.0 PC

- 대각선으로 9인치보다 큰 HD(720p) 디스플레이, 컬러 채널당 8비트

< 이하는 아래 URL 참조 >

https://www.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11-specifications

 

Windows 11 사양 및 시스템 요구 사항 | Microsoft

Microsoft Windows 11의 대략적인 사양과 기능을 확인해 보세요. Windows 11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사양, 버전 및 언어에 대해 알아보세요.

www.microsoft.com

 

<보안 부팅 관련 안내 콘텐츠> 

 

https://support.microsoft.com/ko-kr/windows/windows-11-%EB%B0%8F-%EB%B3%B4%EC%95%88-%EB%B6%80%ED%8C%85-a8ff1202-c0d9-42f5-940f-843abef64fad

 

Windows 11 및 보안 부팅 - Microsoft 지원

게시 2021년 8월 이 문서는 현재 PC가 Secure Boot가 지원되지 Windows 11 업그레이드할 수 없는 사용자를 위한 것입니다. 이 수준의 기술 세부 정보를 익숙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자세한 지침

support.microsoft.com

 

 

< 윈도우 11 (Windows 11) - 설치 USB 생성 관련 >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1

 

Windows 11 다운로드

요청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중입니다. 이 작업은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새로 고치거나 뒤로 이동하지 마세요. 그러면 요청이 취소됩니다.

www.microsoft.com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설치 미디어 및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고나서

윈도우7, 10 설치용(부팅용) USB를 만드셨던 것처럼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하시면 됩니다. 

막히시는 부분 있으시면 댓글로 또한 문의주세요 :) 

도와드리겠습니다. 

 

윈도우 11의 경우는 특히 UEFI 펌웨어를 활용한 보안 부팅(Secure Boot)를 설정하시고 나서 

윈도우 11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셔서, 

현재 사용 중인 PC에 UEFI 펌웨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또한 보안 부팅(Secure Boot)를 설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정확히 확인하신 후 이하 단계들을 진행하시는 게 가장 안정적입니다. 

다음 콘텐츠 제작 주제로 정해서 작성하게 되면

추가 내용 수정을 통해 링크를 공유하겠습니다.

 

< 결론. 윈도우(Windows) 복구를 원하는대로 할 수 있다는 건? > 

 

이렇게 오늘은 윈도우 7, 윈도우 10, 윈도우 11의 설치 가능 권장 사양과 

설치용 부팅 USB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설치용 USB를 만들게 되면 

드라이브의 활용성으 높이는 파티션 설정을 원하시는대로 할 수 있고, 

PC가 너무 느리면 다시 윈도우를 설치할 수도 있고, 

원하는 복구 시점(상태)으로 윈도우를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대로 PC를 조금 더 잘 다룰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오늘의 글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요.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눌러주시면

제게 더 열심히 글을 작성해 달라는 구독자 분들의 마음이라 생각하고

더 열심히 생각해서, 도움이 되시는 콘텐츠들을 많이 작성하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윈도우 설치용(복구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USB 제품 추천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품명 링크 장/단점
https://link.coupang.com/a/HL5dG * USB 속도 : 3.1 
* 정말 작다! 휴대성이 좋은? 
장착했을 때 USB 보다 덜 걸릴 것 같은?
* 충격으로부터 보호 가능할지 조금은 의문!
https://link.coupang.com/a/HL6kf * USB 속도: 3.0 
* USB 부분을 밀고, 당길 수 있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
* 부피 : 조금 큰? 
※ 개인적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 
https://link.coupang.com/a/HL6Ft * USB 속도 : 2.0 
* 그냥 귀여워서...^^
* 근데 또 귀여운..^^
* 귀여워서 추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윈도우를 사용할 때

 

우리는 폴더, 파일을 사용합니다. 

 

그 파일, 폴더를 특정 목적에 의해 

 

최종 수정한 일자를 기준으로 

 

일정 기간이 되었을 때 

 

자동으로 삭제를 하도록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까지 설명드렸던 것처럼 

 

배치 파일에 

 

 

특정 경로에 있는 파일, 폴더 각각의 

 

마지막 수정 일자로부터의 수정하지 않은 일자를 계산해서 

 

파일, 폴더를 삭제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한 후 

 

작업 스케줄러를 활용해서 

 

하루에 한 번씩이든, 

 

일주일에 한 번씩이든, 

 

설정을 해주시면 되겠지요? 

 

그렇다면 현재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건 

 

스크립트에 들어가는 내용일 것입니다. 

 


 

① 특정 경로에 있는

 

② 디렉터리(폴더)를 포함한 

모든 파일을 탐색합니다. 

 

③ 그리고 각 파일의 마지막 수정일로부터

현재까지의 일수를 구한 후 

특정 일수 값이 되었다면 

 

④ 해당 파일을 삭제합니다. 

 


 

자! ① ~ ④ 까지의 과정이 포함된 스크립트를

 

forfiles 이라는 command 명령어를 활용해서

 

작성했습니다. 

 

아래를 참고하세요! 

 

forfiles /D -5 /P "C:\del_docu_1" /M "*" /c "cmd /C IF @isdir==FALSE ( del /q @path ) ELSE ( rd /S /Q @path )"

 

참 길지만, 

 

저 명령어 한 줄이면 특정 디렉터리(폴더) 경로의 

 

모든 파일에 대해 현재 일자 기준

 

각 파일들의 마지막 수정 일자와 비교해서

 

며칠이 유지되었는지를 계산해서

 

일정 일수가 되면 파일(폴더 포함)을

 

알아서 삭제해 주게 됩니다. 

 

분할해서 설명드리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forfile /P "C:\del_docu_1"

 

C:\del_docu_1 경로를 기준 경로로 설정한다.

 

/M "*" 

 

모든 파일(폴더)을 대상으로 한다. 

 

/c "cmd /C if @isdir==FALSE ( del @path ) else ( rmdir /Q /S @path )

 

" " 에 포함된 명령으로 커멘드 명령을 실행한다.

 

" " 명령 설명 

 

 

(현재 파일(폴더)를 하나하나 탐색해 갈 때)

 

" 만약 폴더가 아니면(파일 이면)

 

( del @path ) 명령으로 파일을 삭제한다. 

 

폴더면 ( rmdir /Q /S @path ) 명령으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포함하여 삭제한다."입니다. 

 

※ 그리고 위에 스크립트에 보이는 괄호 "( )"는 정말 중요합니다. 

 

각 경우에 대하여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실행 스크립트의 시작~끝을 구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절대 빠져선 안됩니다. 

 

이렇게 배치 파일을 만드시고, 

 

작업 스케줄러를 원하시는 대로 생성해서 

 

주기적으로 OS 자체적으로 

 

해당 폴더를 체크하고, 

 

불필요한 파일들을 삭제하도록 시켜주시면 됩니다. 

 

윈도우로 작동하는 서버든, PC든 

 

모든 곳에서 활용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매우 유용할 거라 생각이 들고, 

 

또한 응용해서 작업하실 수 있는 부분들이

 

또 있으실 거라고 봅니다.

 

혹시 배치 파일 생성이나, 

 

작업 스케줄러 설정 또는 

 

작업 스케줄러 생성 배치 파일 실행 등과 같은 

 

내용에 대해 모르시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먼저 이해하시고, 

 

오늘의 내용을 적용해서 진행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배치 파일 생성 관련 콘텐츠]

 

https://itchapter.tistory.com/3?category=1071190 

 

[배치파일(.bat) 정보공유]필요한 PC 명령들을 하나의 파일에 담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배치파일(.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어느덧 가을이 왔습니다. 공기가 시원해지고, 저녁이 되면 추위가 느껴질 정도로 기온이 내려가기도 하네요. 이럴 때 감기 걸리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감기 조

itchapter.tistory.com

 

[작업 스케줄러 생성(배치 파일로 생성 방법 포함) 관련]

 

https://itchapter.tistory.com/7

 

[배치파일(.bat) 정보공유]PC에서 주기적, 반복적인 처리를 위한 작업스케줄러(SchTasks) 등록 배치파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임의의 알파벳으로 연결하는 방법 파일 존재 유무를 체크하는 조건문을 생성해서, TRUE/FALSE에 따라 파일을 복사하거나,

itchapter.tistory.com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PC 를 사용하시다 보면

엇! 평소에 쓰던 아이콘이 아닌데?

왜 바뀌어 있지??

그리고 아이콘이 바뀌었는데

실행도 이상하게 되네? 오류가 나네? 왜 그러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양한 경우를 통해

현재 사용하는 파일 확장자에 대해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이 변경된 것이 원인입니다.

그런 경우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황을 나누어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첫 번째, 아이콘 모양만 다른 경우(아이콘 모양이 깨진 경우)


위 경우는 아주 간단합니다.

컨트롤 키 + R 를 누르시면 실행창이 하나 열립니다.


그러면 검정색 창이 하나 열리지요.

그곳에 아래의 내용을 그대로 메모장 같은 곳에 작성하시고,

taskkill /f /im explorer.exe
attrib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 -r -h
del /q %userprofile%\appdata\local\iconcache.db
start explorer.exe

검정 화면(커멘드 화면 Command)의

빈 영역을 클릭하신 후

우클릭 딱! 해주시면 주르륵! 하면서

화면이 반짝하실 겁니다.

위의 작업은 현재 PC 내

아이콘 표출을 관장하는 부분에 대해

쌓여 있는 캐시를 비워버리고,

새롭게 재정비를 하겠다는 명령입니다.

그래서 보통 바로가기 아이콘 또는

작업 표시줄에 바로가기 실행 프로그램(앱)을

고정해 놓고 쓰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 부분의 아이콘이 깨져 있는 경우 등..

이 경우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프로그램(앱) 실행에 대한 기본 실행 프로그램(앱)이 변경된 경우

위의 경우는 다릅니다.

아이콘의 단순 깨짐의 문제가 아니라

실행하고자 하시는 파일을 실행할 때

사용하게 되는 기본 프로그램(앱)의 설정이

다른 엄한 프로그램(앱)으로 되어 있는 겁니다.

이 경우는 해당 파일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을 변경해 주셔야 합니다.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실행 파일을 직접 선택해서 설정하는 방법이고요,

하나는 전체 확장자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설정을 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파일 직접 선택 후,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 변경 방법은

먼저 파일 클릭 후 > 우클릭 > 연결 프로그램 커서 이동

> 다른 앱 선택(C)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기본 프로그램(앱)으로 설정하기 원하는

프로그램을 클릭하신 후,

아래의

"항상 이 앱을 사용하여 .xxx 파일 열기"를

꼭 체크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원하는 프로그램(앱) 목록이 보이지 않으신다면

스크롤을 쭈욱~ 내려보시고,


"이 PC에서 다른 앱 찾기"를 클릭하시면

탐색기 창이 하나 열립니다.

이 탐색기 창에서 원하시는 실행 파일을 찾아

선택 후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 추가 문의는 댓글 주세요 :)

자 ! 또 다른 방법 전체 확장자에 대한

설정 기본 프로그램(앱)을 확인하고,

원하는 확장자에 대해

기본 프로그램(앱)을 바꾸고 싶으시다면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좌측 작업 표시줄의 윈도우 로고를 우클릭 하시고,

앱 및 기능을 선택해 주세요.

그리고 좌측의 "기본 앱" 탭을 선택해 주시고,

파일 형식별 기본 앱 선택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현재 윈도우 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체 확장자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앱) 설정이 표출됩니다.

여기서 스크롤을 쭈욱~ 내려가시면서

원하시는 확장자를 찾으시고,

그 확장자 파일을 실행할 때

사용했으면 하는 기본 프로그램(앱)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자 ! 그런데 만약

매일 실행하긴 했는데,

이 파일의 확장자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경우는 파일 우클릭 후 > 속성을 클릭하시면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 근데 보니

여기서도 변경을 눌러 기본 프로그램(앱)을

변경할 수 있네요 :)

참고하세요!

자! 오늘은

잘 열던 파일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때?

아이콘 모양이 깨졌을 때?
(엄한 아이콘이 표시될 때)

이런 당황스러운 상황에 있어서

해결하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구독! 버튼 꾸욱 ~~~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 실용적이고, 자주 궁금해하실 만한

주제들을 가지고 다음 콘텐츠로 뵙겠습니다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EOY6N

LG 올 뉴 그램 14인치 중고 노트북 14Z980 8세대 Core-i5 RAM 16GB SSD탑재 윈도우11설치 72Wh 배터리 올데이 그램, WIN11 Pro, 256GB, 코어i5, 화이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LG 그램 노트북을 구매 하셨는데, 

 

WIFi 가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했고, 

 

장치 관리자에 보니 무선 랜 카드 드라이버가 없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간단합니다 :) 

 

무선 랜 카드 드라이버(Wireless Driver)를

 

LG 다운로드 센터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하세요! 

 

https://www.lge.co.kr/support/product-manuals

 

제품 사용설명서 다운로드 | LG전자 고객지원

LG전자 고객서비스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설명서를 지원해드립니다. 쉽고 간단한 LG전자 제품 사용설명서를 다운받아 보세요

www.lge.co.kr

1. 모델명 입력 후 검색!  ▶ 검색 결과에 나온 노트북 선택

2. 현재 본인의 PC에 맞는 운영체제 선택 후, 

필요한 무선 네트워크 드라이버 다운로드 

(Intel Wireless Lan 드라이버..)

 

3. 드라이버 다운로드 후, 압축 해제

    그리고 install.bat 실행으로 드라이버 설치 

 

 

 

 

이렇게 드라이버 설치를 마치시고, 

 

와이파이(WIFI) 가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혹시 내가 가지고 있는 노트북이

 

LG, 삼성과 같은 OEM 제품이 아닌

 

조립 노트북이다? 

 

그런데 무선랜이든, 유선랜이든

 

인터넷, 와이파이(WIFI)가 잡히지 않는다?

 

그런 경우도 방법은 있습니다. 

 

3DP-Net 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설치 지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시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관련해서는 지난 콘텐츠에 상세하게 적어 놨기 때문에

 

링크 공유드리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itchapter.tistory.com/8

 

[이렇게해보세요 #1]인터넷이 안되는 문제 관련 대응 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쉐어스퀘어 입니다. 오늘은 PC를 사용하시면서 가끔 부딪히는 문제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바로 "인터넷이 안돼? 왜 그러지?" 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 발을 동동 구르시면서 보통은

itchapter.tistory.com

 

※ 아! 현재 기준(2022.11.2.) 

 

3DP-Net 사이트에서 3dp net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되고 있지 않습니다.

 

혹시 필요하신분 계시면 제게 댓글로든 

 

ssoprecious@naver.com 으로든 

 

말씀해 주시면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 

 

이상 쉐어스퀘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늘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구독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IT관련해서 더 유용한 글을 제가 작성하는데에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